[경남 창원]9월의 가볼만한 곳①

2012. 9. 3. 16: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일리안 정현규 객원기자][데일리안 여행 = 정현규 객원기자]한국관광공사는 "문학이 흐르는 길을 따라" 라는 테마 하에 2012년 9월에 가볼 만한 곳으로 '문학의 고향에 깃들다, 창원시 마산합포구(경남 창원)', '시인이 꿈꾸던 '그 먼 나라'를 찾아서, 부안 신석정문학관(전북 부안)', '〈소나기〉의 주인공 되어 사춘기로 돌아가는 곳, 양평 황순원문학관(경기 양평)', '절경에 취해 벼랑 위에서 시를 노래하다, 정선 몰운대(강원 정선)', '영원을 추구한 시인 구상을 만나다, 칠곡 구상문학관(경북 칠곡)' 등 5지역을 각각 선정, 발표했다.

◇ 마산문학관 전시관 ⓒ 한은희

문학의 고향에 깃들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노산북8길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바다가 육지 안쪽으로 길게 들어온 천혜의 항구다. 바다와 맞닿아 있으면서도 산업도시로 더 많이 알려진 것은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있기 때문. 지금도 항구 가까이에서는 산업 단지의 면모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마산합포구는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문학의 고향이다. 신라 시대 문장가 고운 최치원이 월영대 앞바다의 아름다움에 반해 후학을 기르며 오래도록 머물렀다고 전해지는 것. 이후 월영대는 고려·조선 시대 많은 문장가들의 순례지가 됐다.

마산합포구 문학 여행의 시작점은 창원시립마산문학관이다. 문학관은 시조 시인 이은상이 산책하던 노비산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이은상의 호 '노산'도 이 산의 이름에서 비롯됐다고. 문학관 앞마당에는 창원시를 연고로 둔 시인들의 문학비가 있다. 노산의 고향에 대한 추억이 담긴 〈옛 동산에 올라〉를 감상해보자.

내 놀던 옛 동산에 오늘 와 다시 서니 / 산천의구란 말 옛 시인의 허사로고 / 예 섰던 그 큰 소나무 버혀지고 없구료 // 지팽이 더저 짚고 산기슭 돌아나니 / 어느 해 풍우엔지 사태져 무너지고 / 그 흙에 새 솔이 나서 키를 재려 하는구료

시를 감상하고 돌아보면 노산이 〈가고파〉에 묘사한 파란 바닷물이 한눈에 들어온다. 옹기종기 모여 앉은 도심의 건물들은 작품이 쓰일 당시와 달라졌을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지키고 있는 것은 "내 고향 남쪽 바다 그 파란 물……"인 셈이다.

전시관으로 들어서면 창원 문학의 발전 과정을 볼 수 있다. 마산합포구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지나면서 수많은 문인들이 피란 와 머무른 곳이다. 특히 국립마산결핵요양소(현재 국립마산병원)는 문학의 산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려운 생활 때문인지 문인들은 결핵 환자가 많았다. 이들이 모여들면서 요양소는 자연스레 문인들의 토론장이 됐을 것이다. 그 과정에서 문학적 동지를 찾기도 했으리라. 그 결과 이곳에서 결핵 계몽지 《요우》와 지금도 발행되는 《보건세계》를 만들었고, 문학 동인지 《청포도》 《무화과》 등이 발행됐다.

◇ 아구찜 ⓒ 한은희

전시관에서 시인의 친필 원고도 만날 수 있다. 200자 원고지에 꾹꾹 눌러쓴 시어들이 작품을 더욱 빛나게 한다.

마산합포구 곳곳에는 문학비가 있다. 가장 많은 곳은 용마산 산호공원이다. 공원 입구의 울창한 숲길을 따라 올라가면 문학비가 늘어선 '시의 거리'가 시작된다. 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무학산 만날공원으로 가보자. 그곳에 천상병의 시인의 〈새〉 문학비가 있다.

만날공원은 해마다 추석 이틀 뒤 열리는 만날제의 행사장이기도 하다. 진해에서 마산으로 시집간 딸이 친정이 그리워 저도 몰래 추석 상을 물린 밤중에 이곳으로 왔다는 이야기를 주제로 열리는 축제다. 이 공원에서 무학산 등산로가 시작된다. 편도 3.6km 구간으로 두 시간 정도 올라야 정상에 닿는다. 하산할 때는 오른 길을 돌아오거나 마산중학교로 이어지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모두 3~4km 내려와야 한다.

창원 문학의 오랜 전통을 찾을 수 있는 곳은 창원시립마산박물관이다. 박물관 앞마당에는 최치원이 머무르던 월영대를 찾아 시를 남긴 문장가들의 시비가 있다. 고려 시대 정지상, 김극기, 안축 등과 조선 시대 서거정, 이황, 정문부 등 13명이 남긴 시다. 시비를 돌아본 뒤에는 옛 마산의 역사를 살필 수 있는 박물관으로 가자. 선사시대 유물부터 원나라의 일본 정벌 전초기지 역할을 한 고려 시대의 합포, 임진왜란 당시의 합포, 조선이 스스로 개항한 마산포, 3 & 8231;15마산의거와 부마민주항쟁 등을 세세히 살펴볼 수 있다. 박물관 1층에는 아이들과 함께 책을 보며 쉬어갈 수 있는 역사북카페도 있다.

박물관에서 언덕을 따라 올라가면 창원시립문신미술관이다. 미술관은 문신의 초기 작품인 회화를 볼 수 있는 제1전시관, 조각 작품을 전시하거나 기획전을 여는 제2전시관, 문신의 석고 원형 작품을 전시하는 문신원형미술관으로 구성됐다. 이중 가장 인상적인 공간은 문신원형미술관이다. 전시관 한가운데 놓인 하얀 석고상들이 주인공이다.

◇ 문신미술관 정원에서 바라본 마산 풍경 ⓒ 한은희

이 석고상들은 작가가 작품을 위해 제일 먼저 만드는 '원형'이다. 문신은 이 원형을 그대로 작품화했다. 종종 석고 원형 작품을 전시회에 출품하기도 했다고. 원형미술관 창문 너머로 프랑스에서 영구 귀국한 작가가 생전에 살던 작은 집이 보이는데, 지금은 그의 미망인이 살고 있다. 문신미술관은 7월 10일부터 10월 21일까지 〈내 고향 남쪽 바다〉전을 연다. 남쪽 바다를 주제로 삼은 전혁림, 변시지, 임호 등 여러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창원시립마산음악관에도 문신의 흔적이 있다. 작곡가 조두남에게 보낸 편지다. 음악관 앞 마산조각공원은 천천히 산책하며 쉬어가기 좋은 장소다.

〈당일 여행 코스〉

문학 여행 / 창원시립마산문학관→만날공원→창원시립마산박물관→창원시립문신미술관→창원시립마산음악관→마산조각공원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창원시립마산문학관→만날공원→무학산 등산→마산어시장

둘째 날 / 창원시립마산박물관→창원시립문신미술관→창원시립마산음악관, 마산조각공원→용마산 산호공원 시의 거리

〈여행 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창원시청 문화관광 http://culture.changwon.go.kr

- 창원시립마산문학관 http://pen.changwon.go.kr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