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국감]장군진급 사관학교출신 편중

양낙규 2011. 9. 28. 10: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각군 사관학교 출신들의 군 장성 진급률이 비사관학교 출신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국회 국방위원회 신학용(민주당) 의원이 28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각군별 2007년~2011년 육ㆍ해ㆍ공군 영관급 이상 장교의 출신 비율' 자료에 따르면 현 정부의 장성 숫자는 참여정부 시절이던 지난 2007년에 비해 22명 늘어났다. 육군의 경우 현 정부에서 장군 자리가 20개가 늘어났는데 육사 출신은 24명이 늘어난 반면 비육사 출신 장군의 숫자는 4명이 줄었다. 2007년에는 장군 299명 중 육사 출신이 226명(76%)였던 반면, 2011년에는 장군 319명 중 육사출신이 250명(78%)으로 비율이 더 높아졌다. 이에 비해 비육사 출신 장군 숫자는 73명(24%)에서 69명(22%)으로 줄었다. 현재 육군 영관급 장교의 경우, 육사와 비육사 출신 비율이 3대 7로 비육사 출신 비율이 높다. 해군의 경우 2007년 장군 56명 중 55명이 해군사관학교 출신이었지만 현재는 54명 전원이 해사 출신이다. 공군은 사관학교 출신 편중이 가장 뚜렷하다. 2007년 영관급 장교 중 공사 출신이 75.8%이었으나 2011년에는 76.4%로 올라갔다. 장군도 2007년에는 61명 중 58명이 공사 출신이었지만, 2011년 현재는 나머지 세 자리마저 사관학교 출신들이 차지했다. 신 의원은 "'국방개혁 2020'에 따라 군인 숫자는 줄어드는데 현 정부에서 장군 숫자가 22명 이상 대폭 늘어났다"면서 "사관학교 출신들의 고위직 독식은 참여정부 시절 다소 개선됐다가 현 정부 들어 과거로 퇴행한 만큼 국방부는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바일] 언제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내 손안의 아시아경제

[10아시아] TV보다 더 재미있는 즐거움의 공장!

양낙규 기자 if@<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돈까스로 '떼돈' 번 정형돈 이번엔 또 뭘로?""연아가 하면 괜찮고 강호동이 하면 죄냐?""재산 1000억" 그 남자 결혼하고픈 여자가…"한달에 딱 2번 출근하고 연봉이 5000만원?"7일 뒤 대공개 '아이폰5' 초대장 봤더니 "헉""이등병 월급이 따블로? '군대' 갈 만하겠어""강호동도 샀다더니…" 그 동네 땅값 '충격'미군 F-15 전투기 개량을 한국이? 대체 왜…'꼬꼬면' 진짜로 없어서 못판다더니 결국…"역시 김연아" 30억 날리는 줄 알았는데…"아무리 옆구리가 시려도 이런 여자는 좀…"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