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하면 생리 주기 변하는 이유 있다

2011. 7. 29. 16: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이나래 기자] 식이요법이나 운동을 통해 다이어트를 하면 체중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월경주기, 생리양 등 호르몬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정상적인 여성의 체지방율은 18~30%인데, 다이어트 중 체지방율이 평소보다 낮아지거나 정상 이하로 낮아질 경우 여성의 지방 세포에서 생성되는 여성 호르몬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다이어트를 통해 체지방율이 많이 낮아지게 된 경우, 생리량 뿐 아니라 생리 주기의 변화까지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월경 주기는 21~35일 정도로, 3~7일 정도의 기간 동안 대략 20~80ml 의 혈액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리 주기는 생리 난포기(배란 전, 에스트로겐)를 거쳐 배란이 되며, 황체기(생리 전, 황체 호르몬)를 거쳐 생리로 이어지게 된다.

생리 전 시기인 황체기에는 체중 감량과 사이즈 감소가 더디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생리 전(황체기)에 체중 감량을 어렵게 하는 신체 현상에는 에너지 섭취량 증가, 황체 호르몬에 의한 지방 축적 증가, 인슐린 민감도 저하, 식욕 증가 물질 상승, 탄수화물과 지방 섭취의 증가 등이 있다.

대체적으로는 체중 감소 시 생리 양이 적어지거나 주기가 늦어지지만, 양이 많아지거나 주기가 빨라지는 경우 혹은 무월경의 상태, 생리 대신 약간의 출혈만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시적인 불균형 상태에 해당하므로 극단적 저체중이나 저체지방율을 교정하거나, 정상 체중 도달 후 일정 기간이 유지되면 정상 상태로 돌아온다.

위에 언급한 생리 변화는 다이어트로 인한 체지방율 감소 혹은 스트레스로 인한 것일 수도 있지만 수면 부족, 과로 등의 환경적인 이유가 있지는 않은지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생리 불순이나 무월경 등이 자신의 생리 주기의 3배 이상 혹은 6개월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에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생리가 늦어지는 경우라면 조기폐경, 다낭성 난소 증후군, 자궁 내막 유착, 반복된 임신중절 수술, 갑상선 호르몬이나 유즙 분비 호르몬 이상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반대로 생리가 길어질 경우에는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근종, 골반 내 염증 같은 여성 생식기 질환이나, 갑상선 항진증, 혈소판 감소증 등의 혈액 질환 등이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한편, 생리주기 사이에 적은 양의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자궁 외 임신, 임신 조기 출혈, 유산 등이 아닌지 검사해 봐야 한다. 월경 불순의 이유를 무조건 다이어트로 생각하는 것은 다른 기저 질환을 놓칠 수 있으므로, 다이어트 외의 기저 질환의 가능성도 염두해두는 것이 좋다.

[도움말] 가정의학과 전문의 황지수 원장

저작권자ⓒ 엑스포츠뉴스 ( www.xportsnews.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xportsnews.com

Copyright © 엑스포츠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