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 초등 1학년 수학교육 이렇게 ..

n/a 2011. 4. 22. 03: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일보]

채민식 천안소마수학 원장

어느덧 새 학기가 시작하고 두 달이 되어 간다. 이제 초등학교에 입학한 새내기들도 유치원생의 티를 벗고 의젓한 초등학생의 모습으로 변신을 하고 있다. 이런 모습에 자신감을 얻은 많은 새내기 학부모들은 잘 가르친다는 영어, 수학, 논술, 과학 학원으로 혹은 예체능 학원으로 초등 1학년 학생들의 한 달 스케줄을 꽉꽉 채운다. 과연 달라진 환경에 아직 완전히 적응하지 못한 새내기들이 이런 스케줄을 무사히 소화 할 수 있을까?

학습지·문제집과의 전쟁

많은 아이들이 입학과 동시에 본격적인 학습지, 문제집과의 전쟁이 시작된다. 그러나 변화하는 수학교육 환경에서 연산능력의 중요성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새내기 학부모들은 알아야 한다.

 7차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가장 획기적으로 달라진 과목이 바로 수학이다. 개정 전에는 연산을 통한 '수학의 힘'이 강조되었다면 개정 후에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된다.

 수학 교과서의 수준과 난이도가 높아졌다는 뜻이다. 기존 수학 참고서나 학습서에도 수학 개념이 상세히 나와 있긴 하지만 학생이 개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점검은 할 수 없었다. 하지만 개정 교과서는 학생이 개념을 정말 이해했는지 이야기를 시켜 보고, 실제 생활에서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도 설명하도록 끊임없이 요구한다. 학습자가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 자체를 중요시하는 것이다.

일러스트=김영주

고전적인 수학교육 빨리 벗어나라

수학 개념에 대해 부담 없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친구들의 생각을 들으면서 스스로 해답을 찾아가도록 유도해야 한다.

 특히 발표를 할 때는 자신이 문제를 해결한 과정이나 탐구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켜야 하므로, 수학 원리에 대한 근거가 명확하고 논리적으로도 더 치밀해야 한다.

 하지만 정작 학부모들은 여전히 연산을 통한 수학실력 증진을 요구하고 있다. 문제집 많이 풀고 오답노트 잘 작성하고 하면 수학 잘하는 아이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는 수학적 사고력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없다. 또한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어려서부터 영어에 자연스럽게 노출된 아이가 영어 우수자가 되듯이 수학도 마찬가지다. 꾸준히 수학적 사고력을 가지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법을 터득한 학생만이 수학 우수자가 될 수 있다.

 방법은 멀리 있지 않다. 모든 학습의 원리가 그러하듯이 수학도 생활 속에서 쉽고 재미있게 접하고 또래와 함께 즐겁게 표현한다면 누구나 쉽게 수학적 사고력을 가지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힘을 키울 수 있다. 예컨대, 집에서도 모양이 다른 두 컵으로 물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부피의 기본 개념과 들이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며, 쌓기 나무와 큐브를 이용해 다양한 입체 도형을 만들면서 기하학적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무줄을 이용하여 엄마와 함께 다양한 평면도형을 만들고, 색종이를 여러 가지 다각형으로 자른 후 다시 붙이는 놀이를 통하여 다각형의 성질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유치원을 갓 졸업한 초등학교 1학년에게 수학은 책상에 앉아서 문제만을 푸는 학문이라고 느끼게 한다면 그 학생은 학창시절을 수포자(수학포기자)로 보내야 할 것이다.

문제 잘 푼다고 수학 우수?

이제 연산을 잘해서 학교 수학 시험에서 100점을 맞는 학생을 수학 잘한다고 칭찬하는 시절은 끝이 났다. 올바른 수학적 개념의 바탕 하에 확장된 사고력을 가진 학생들만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인정하는 수학 우수아로 거듭 날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수학 실력을 연산능력 위주로 키워 준 학생은 고학년이 되어 갈수록 수학을 멀리 하는 수학 부진아가 될 수 있다. 연산에 집중하는 시간에 아이들에게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힘, 흔히 말하는 사고력을 키워 준다면 진정한 수학 우수아로서 성장 할 것이다. 중·고생이 되어도 수학 우수학생으로 남아 입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채민식 원장 약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전 대학학원 강사(대치동)

전 한빛학원 강사(대치동)

현 V.S 수학혁명 원장(송파)

현 정보학원(압구정 본원)수리영역 강사

채민식 천안소마수학 원장

일러스트=김영주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msn.com/center/v2010/power_reporter.asp

이지아 미스터리 풀렸다 "1978년생…본명 김상은"

막걸리 항암효과 보려면 하루에 최소 13병…

'충격' 정우성…"이지아에 대한 사랑 애틋했었다"

영어 못해도 여권 스캔하면 끝 '美 입국 무인심사'

대지진 알리는 '소리 없는 경고음' 찾았다

지하철서 여성에 몸 비빈 성추행범 알고보니 판사

찻잎 따는 직원 자격이 '가슴 C컵 넘는 숫처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