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벨트 떼고 '과학'에 초점"
과학기술 관련 대토론회
"`비즈니스'와 `벨트'를 떼어내고 `과학'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기벨트) 건설이 정치이슈화되고 지자체들의 유치경쟁이 거세지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계 관계자들은 과기벨트 사업에 낀 거품을 빼고 기초과학연구원 설립과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세종시 수정론 등과 휘말리며 너무 비대하고 성격이 모호해진 과기벨트 사업을 현실적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8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기초과학학회협의체 공동 주관으로 서울 태평로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과학기술 관련기관 대토론회에서 이덕환 서강대 교수(대한화학회 차기회장)는 "과기벨트가 지난 3년간 정치적, 정략적으로 휘둘리면서 거품이 많이 끼었다. 국제ㆍ과학ㆍ비즈니스ㆍ벨트라는 말이 전혀 조합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우리 과학기술이 더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 기초과학의 어떤 연구를 누구와 할지 차분하게 논의하고, 그에 맞는 중성적인 이름을 붙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원훈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회장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보다는 기초과학연구원을 국제 수준으로 탄생시키는 게 중요하며, 거점도시의 핵심인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를 분산배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이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라는 단어 자체가 정치적으로 탄생했는데 기초과학과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것은 아주 오랜 기간이 걸리고, 기초과학 연구결과를 산업화하는 것은 이미 전국적으로 설립돼 있는 연구기관이나 산업체에서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벨트 걱정은 하지말고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민 자유선진당 의원도 사업 내용과 예산 거품을 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과기벨트 사업이 세종시와 연계되면서 상당히 부풀려진 게 사실"이라며 "그러다 보니 과학기술인들조차 벨트의 초점에 대해 컨센서스가 모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기벨트 사업을 하면서 산업기술과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를 부각시키니 각 지역에서 달려들 수밖에 없다"며 "거품을 과학적으로 정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경애기자 naturean@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계 `분노의 날` 된 트럼프 `해방의 날`… 관용적 패권국 미국 종언
- 어떤 결론이든 尹탄핵 선고 후 불복 우려
- 트럼프 관세정책 여파...올해 1분기 외국인 직접투자 64억달러로 축소
- 최태원 "중국, AI·제조업서 우리보다 앞서… 못 쫓아갈 수도"
- SW 인재 몰입 환경 강화한다…SW 마에스트로, 환경·입지 개선한 마포 센터 개소
- 부동산에 묶인 빚 2000조… 11년만에 2.3배로
- `삼성 vs 현대` 압구정2 리턴매치 사활
- 巨野, 최상목 탄핵안 보고… 쌍탄핵은 尹선고날 분수령
- `강력 대응` 속 `협상의 여지`… `관세전쟁` 탈출구 열어 놓은 中·EU·日
- 토허제 실책이 `풍선` 눌렀다…`마강성` 신고가 릴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