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추천 1월의 가볼만한 곳①

2010. 1. 4. 17: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일리안 정현규 객원기자]한국관광공사는 '일출이 아름다운 드라이브 코스'라는 테마 하에 2010년 1월의 가볼만한 곳으로 '남해와 동해의 신성한 기운을 충전시켜주는 바닷길(경상남도 거제시)', '붉은 태양, 파릇한 들녘, 검은 갯벌과 만나다(전라남도 무안군)', '해맞이와 달맞이에 취한 명품 드라이브 길, 해운대 달맞이길(경상남도 부산시)', '명품바다와 함께 달리는 고성의 낭만가도(강원도 고성군)' 등 4곳을 각각 선정, 발표했다.

◇ 거제만 일몰 ⓒ 유연태

남해와 동해의 신성한 기운을 충전시켜주는 바닷길위치 :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다포리통영반도에서 신거제대교나 구거제대교를 건너면 남한에서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섬인 거제도를 만나게 된다. 거제시 추천 명소 8경 가운데 하나인 '여차 - 홍포 해안도로'를 찾아가는 길은 크게 두 가지다.

1018번 지방도를 타고 거제면-동부면-남부면-홍포항으로 가는 길은 거제도 서부지역의 해안과 내륙 풍경을 집중적으로 감상하게 된다. 또 다른 하나는 14번 국도를 타고 장승포동-구조라해수욕장-학동몽돌해수욕장-해금강 입구-여차마을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 코스를 이용하면 거제도 동부지역의 해안 절경을 골고루 살펴볼 수 있다.

여차마을 입구를 출발, 전망대를 거쳐 홍포항까지 이어지는 길의 총 거리는 약 4km 정도이다. 망산(397m) 줄기가 바다로 쏟아져 내리는 산 중턱 비탈에 길을 뚫어놓았다. 그러니 해안도로라고는 하지만 파도가 바로 옆까지 밀려와 부서지는 길은 아니다. 파도와 멀어진 대신 고지대를 통과하므로 조망의 즐거움에 푹 젖어볼 수 있다.

여차마을에서 몇 개의 펜션 입구와 망산 등산로 입구를 지나면 까마귀개 정상. 이곳에 목재 데크로 다듬어놓은 전망대가 있다. 첫 번째로 만나는 전망대는 낙석의 위험 때문에 폐쇄됐고 그곳에서 1백m 만 더 진행하면 두 번째 전망대에 닿는다. 여차마을에서 이 전망대까지의 거리는 약 2.6km이다.

동쪽으로 시선을 두면 여차마을 전경과 여차마을을 포근하게 품은 천장산(275m)이 가슴으로 와락 달려든다. 남쪽으로 시선을 돌리면 대병대도, 소병대도, 대매물도, 소매물도, 어유도, 가왕도, 가익도, 국도 등 남해의 보석들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다가온다. 날씨가 좋은 날이라면 대마도까지도 시야에 들어온다.

여차 - 홍포 해안도로 전망대는 동쪽 방향과 남쪽 방향으로 조망이 좋은 지점이라서 새벽에는 일출 사진을 촬영하려고 하는 여행객들이 심심찮게 찾아온다. 한겨울일 경우 아침 해는 천장산을 12시 방향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1시 방향의 수평선에서 솟아오른다. 신선한 새벽 해를 따라서 보랏빛, 주홍빛, 황금빛으로 점차 변해가는 바다에는 거제도의 고깃배들과 부산을 오가는 대형 선박들이 점점이 떠있어 일출의 장엄미를 한층 살려준다.

저녁 무렵 이 전망대에 도착하면 일몰의 아늑함을 만나볼 수 있다. 따스한 온기를 품고 하루를 마감하는 해는 가왕도 주변으로 떨어진다. 전망대에서 2.4km 서쪽으로 떨어진 홍포항 입구로 이동해서 일몰을 봐도 좋다.

여차 - 홍포 해안도로는 일부 급경사면에 시멘트포장이 되어 있지만 나머지 구간 대부분은 부드러운 흙길로 남아있다. 거제시에서는 이곳마저 포장이 된다면 해안경관이 너무 망가질 것 같아 일부러 포장공사를 안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차마을 주민들의 생각도 도로포장 반대 입장에 서있다. 봄철이면 진달래가 군데군데 아름답게 피어나는 이 길은 때로 바다를 감상하면서, 때로 숲과 대화를 나누면서 걷기에 좋은 곳이라 걷기여행 애호가들의 관심을 듬뿍 받고 있다.

여차마을이라는 지명은 현지 주민의 말에 따르면 1백여 년 전 여자 명창이 태어난 곳이라 '여창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한국전쟁 전까지만 해도 여차마을과 매물도 사이의 바다에서는 고래가 살았다. 이곳 주민들은 주로 어업과 미역을 채취하면서 살아간다.

초봄에는 황우럭(현지 주민들은 삼뱅이라고 부른다), 봄에는 멸치, 여름에는 갈치, 가을과 겨울에는 감성돔, 한겨울에는 열기와 볼락을 잡는다. 나이가 5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해녀들도 대여섯 명 마을에 사는데 이들은 바다로 나가 미역, 전복, 소라, 홍합, 해삼 등을 채취한다.

거제도에서도 최남단에 자리한 땅끝마을이니 한겨울에 찾아가도 마을을 휘감아 부는 바람에는 냉기가 없다. 북쪽에 솟은 망산 줄기가 차가운 바람을 막아주고 집들은 저마다 남향을 하고 있으니 춥게 보이질 않는다. 눈은 10년에 한번 내리까말까 하는 정도이며 아무리 추운 겨울날에도 영하 3도 이하로는 떨어지질 않는다고 주민들은 자랑한다.

◇ 여차몽돌해안 ⓒ 유연태

망산 등산로 시작점은 여차마을 가까운 곳에도 있고 홍포펜션 맞은편에도 나있다. 고려 말기에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자 주민들은 산 정상에 올라 왜선의 동태를 살폈다. 이후로 산의 명칭은 망산이 되었다. 등산로가 완만한 코스라서 가족 단위 등반객들이 많이 찾는다. 정상에서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을 아름답게 수놓은 섬들과 태평양의 수평선을 감상할 수 있다.

여차마을 동쪽에 솟은 천장산에는 태평양전쟁 때의 흔적이 남아있다. 일제는 이 산 정상에 대공포 기지를 세우기 위해 기초공사를 했으나 전쟁이 끝나면서 마무리되지 못했다.

여차 - 홍포 해안도로에서 일출, 일몰을 감상하거나 드라이브를 즐긴 다음에는 거제도 동부의 해금강, 바람의 언덕, 학동, 구조라, 와현해변, 서이말등대 등을 여행하거나 서부의 거제만 해안을 드라이브한 뒤 포로수용소유적공원, 청마기념관, 산방산비원 등을 방문하면 알찬 거제도 여행이 된다.

섬 속의 섬인 외도나 지심도을 방문하는 일정도 좋다. 외도는 동백숲과 아열대식물이 우거진 섬으로 거제도 곳곳에서 출항하는 유람선들은 대부분 외도방문(상륙 시간 약 1시간 30분)을 코스의 하나로 꾸려놓았다. 이 섬에는 늘 은은한 음악이 흐르고 다양한 포즈의 조각작품과 아열대풍의 정원수들이 방문객들을 반겨준다.

특히 종려나무, 워싱턴야자, 코코스야자 같은 이국적인 정취의 식물들은 남쪽나라나 지중해로 여행을 간 기분을 만끽하게 해준다. 이 섬에서 자라는 식물은 약 740여 종을 헤아린다. 한겨울에도 꽃이 지는 법이 없다. 동백꽃이 그 주인공이다.

지심도는 난대림 수목원이라 할 수 있다. 지심도를 뒤덮고 있는 수목은 후박나무, 대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등 모두 37종에 이르며 특히 전체 숲 면적의 60~70%를 동백나무가 차지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지심도는 동백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거제도 동부의 장승포항에서 도선을 타면 20분만에 지심도에 닿는다. 동백꽃은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번갈아 피고지면서 외지의 여행객들을 유혹한다.

수령 350년의 팽나무가 지켜보는 자리에 들어선 청마기념관은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에서 태어난 시인 청마 유치환의 발자취와 문학세계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청마기념관 1층은 유치환의 문학과 사상을 보여주는 프로젝트 영상실, 청마의 영상 시, 둔덕의 정경 디오라마 등으로 꾸며졌고 2층에는 청마의 생애와 삶, 청마의 자취와 체취 등을 주제로 한 유물과 유품 등이 전시돼있다. 기념관 뒤편에는 초가로 지어진 청마생가가 남아 있어 방문객들을 반갑게 맞이한다.[데일리안 = 정현규 객원기자]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거제시청 www.geoje.go.kr-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www.geojeimc.or.kr○ 문의전화거제시청 관광과 055-639-3023장승포관광안내소 055-639-3499-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