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값 4개월째 상승.. 하남 0.9% '최고'

황준호 2009. 8. 26.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땅값이 4개월째 상승세를 나타냈다.특히 경기도 하남시가 미사지구 보금자리 시범지구 등의 개발 기대감으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토지거래량은 지난해 같은달 대비 9.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국토해양부는 지난 7월 전국 지가변동률이 전달 대비 0.21% 상승했다고 밝혔다.지가는 금융위기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했으나 지난 4월부터 반등해 지난달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 지가수준은 지난해 1월 고점대비 4.7% 하락한 수준으로 분석됐다.지역별로는 서울(0.28%), 인천(0.31%), 경기(0.30%) 등 수도권지역의 상승률이 전국평균(0.21%) 보다 약간 높았다. 반면 지방(0.03~0.12%)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시·군·구별로는 전국 249개 시·군·구 중 236개 지역이 상승했다.특히 경기도 하남시(0.904%)는 미사지구가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지정 등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이어 안산시 단원구(0.685)가 안산 선감도 일대 해양체험 관광단지 개발 기대감으로, 부천 소사구(0.552)가 뉴타운(소사지구), 주택재개발(계수범박지구) 등 사업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다.

이어 강남3구 및 버블세븐 지역은 강남구 0.31%, 서초구 0.25%, 송파구 0.29%, 과천시 0.42% 분당 0.16%, 평촌 0.22% 등으로 집계됐다.

용도지역별로는 녹지지역 0.23%, 주거지역 0.22%, 관리지역 0.18%, 상업지역 0.17% 등으로 나타났으며 지목별로는 농지(전) 0.25%, 주거용 대지 0.23%, 상업용 대지 0.18% 등으로 조사됐다.

토지거래량은 총 22만1707필지, 2억638만5000㎡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필지수는 9.4% 감소했으며 면적은 8.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발제한구역(67.8%)과 자연환경보전지역(8.8%)의 거래량이 급증했다. 이는 그린벨트를 풀어, 제 2 보금자리주택 지구 지정이 있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거래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는 부산, 광주, 충남이 필지수 및 면적 기준 모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