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운동'강릉은 독서 열풍

2008. 9. 18. 22: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릉시가 책읽기 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독서 인구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강릉시 평생학습도시추진단과 강릉평생교육정보관 등에 따르면 올들어 8월말 현재 도서관 대출 등을 포함한 이용 자료는 각각 36만4085권, 46만3948권 등 모두 82만8033권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5만6014권에 비해 26%나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강릉시립도서관의 대출 건수는 55만7000여권으로 도내 다른 지자체보다 10만∼30만권이나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릉 시민들의 독서 열기가 높아져 1인당 연평균 3.7권을 읽게 된 것은 시가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후 조직된 추진단이 다양한 책읽기 프로그램을 펼치고 곳곳에 작은도서관을 세운 성과가 나타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 결과 포남동 중앙시립도서관 이용자 수는 다소 줄었지만 곳곳의 작은도서관 이용자 급증으로 전체 독서인구도 급증한 것이다.

시는 2006년 교동에 '솔올 꿈나누 작은도서관'을 설치한 데 이어 2007년 3월 성덕동에 '성덕 반딧불 작은도서관'을 열었고, 또 올해 국민은행에서 민간 자본 1억원을 지원받아 시청사 18층에 '로하스 강릉 작은도서관'을 개관하는 등 시민들의 도서관 이용 여건이 크게 개선됐다. 또 시내 곳곳에서 운영중인 마을 문고 35개도 알차게 운영되고 있다.

'네이버 책 버스' 순회와 책읽기 자원봉사 활동가들의 활약도 책읽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책 버스 순회 프로그램은 강릉시내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 등의 요청을 받아 매주 6차례씩 버스가 순회하고 있다. 책읽기 자원활동가 35명(6개 팀)은 그동안 450여곳을 순회하며 책버스 봉사 활동을 벌였다.

시는 현재 교동 옛 명주군청사를 공공도서관, 문화의 집, 건강가정지원센터, 영상미디어센터 등을 갖춘 대지 1만1639㎡에 연면적 5860㎡ 규모의 평생학습센터로 리모델링중이며 연말 완공된다.

시 평생학습도시추진단 최순각 단장은 "집 근처 작은도서관에 시민들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며 "독서인구 증가뿐 아니라 인프라 구축, 도서관 운영 프로그램 등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강릉=변영주 기자 yzbyou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