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경기도 다슬기 치패 65만마리 방류

2007. 7. 18. 10: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일리안 박익희 기자]경기도민물고기연구소(소장 김기호)는 고유 토산종 패류인 다슬기의 생태계 보호와 자원 회복 및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18일부터 20일까지 남·북한강 등 대단위 내수면에 다슬기 치패 65만 마리를 방류한다.

주요 강.하천별 방류량을 보면 양평군 남한강 15만마리, 광주시 곤지암천 5만마리, 연천군 한탄강 5만마리, 포천시 영평천 10만마리, 가평군과 춘천시 북한강 공동수계 20만마리, 남양주시 가곡천과 월곡천에 10만마리이다.

국내에 서식하는 다슬기는 다슬기, 곳체다슬기, 주름다슬기, 좀주름다슬기, 참다슬기, 염주알다슬기, 띠구슬알다슬기 등 여러종이 있다. 이번에 방류하는 다슬기는 남·북한강에 주로 서식하는 곳체다슬기이다.

다슬기의 효능을 보면 이뇨작용 촉진과 체내의 독소를 배설하고, 부종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한다. 또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해 골다공증과 신장 및 담낭 결석 예방, 혈액속 헤모글로빈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효능이 알려지면서 다슬기를 원료로 한 다슬기전, 다슬기 수제비, 올갱이 해장국, 다슬기 만두, 다슬기 죽 등의 요리가 개발 시판되고 있다.

경기도내 다슬기의 주요 생산지는 북한강, 남한강, 한탄강 등으로 매년 500여 톤(생산액 : 38억4,600만원)이 생산되어 내수면어업소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민물고기연구소는 올해 빙어수정란 3,500만개 이식, 쏘가리 70000마리 및 잉어 10000마리를 방류한 바 있으며, 추후 붕어 50000마리, 잉어 10만마리, 동자개 25000천마리 등을 포함해 치어와 치패를 모두 90만5000마리를 방류하게 된다./ 박익희 기자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