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북단지에 도착하다

2006. 9. 10. 12: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자전거 관련 시민단체, 동호회와 함께 [연속기획] '자전거는 자전車다-자동차와의 아름다운 공존을 위하여'를 10주에 걸쳐 진행합니다. 이 기간 중 자전거 일본 종주를 목표로 지난 7월 6일 일본 여행을 시작한 젊은이가 있습니다. 2004년에 자전거로 우리나라 일주를 한 뒤, '달려라! 펑크난 청춘-자전거 전국일주'를 펴낸 박세욱(26·현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재학 중)씨입니다. <오마이뉴스>는 '박세욱의 좌충우돌 일본 여행기'를 통해, 자전거 여행의 희로애락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오마이뉴스 편집자 주>

[오마이뉴스 박세욱 기자]

▲ 왓카나이의 비
ⓒ2006 박세욱

[8월 18일(금)] 오늘을 위해 그 먼 길을 달려왔나 보다달린 거리 89km 왓카나이-소우야미사키-왓카나이

어젯밤 사람들과 밤늦게까지 이야기했으나 피곤해서 12시를 넘기지 못하고 잠이 들었다. 이제 어지간하면 잠을 깨지 않고 자는데 잠을 설쳤다. 옆자리에 누운 사람이 자면서까지 음악을 어찌나 크게 듣는지 이어폰을 통해 나오는 그 소리에도 잠을 들지 못할 정도였다.

MP3를 찾아내 요절을 내고 싶었으나 보이지 않는다. 자고 있는 남자의 몸을 더듬어 찾다가 혹 그 사람이 깨서 벌어질 그 당혹스러운 시cb에이션이 두려워 이도 저도 못했다.

지금 홋카이도 전역에는 수해를 입을 정도의 비 난리가 났다고 한다. 이곳은 오전까지 날이 맑다고 한다. 그러나 오후부터는 비가 온다고 한다. 불행 중 다행이라는 말은 이럴 때를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지체할 시간이 없을 것 같아 얼른 '벤또'를 사다 먹고 출발.

▲ 세상을 둘로 나눈 하늘과 바다
ⓒ2006 박세욱

그러나 소우야미사키로 향하기 전에 어제 지나왔던 길을 거꾸로 4km 정도 되돌아가 또 엄청난 언덕을 올라 왓카나이 공원에 갔다. 그곳에 세워진 동상을 꼭 보고 가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냥 여기서 눌러앉아 시간을 보내고 싶어진다. 왓카나이를 내려다보며 또 저 멀리 바다를 바라보며 조용한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싶었다. 그러나 어찌하나? 오전까지만 날씨가 맑다고 하니 싫어도 가야 한다. 이 정도의 여유도 부릴 수 없이 가야만 하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거의 한 시간 정도 무거운 발걸음을 떼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페달을 밟는다. 왓카나이 항구와 방파제를 지나고 달리는데 무언가 다르다. 모든 풍경이 아름답게 보인다. 그 유명한 오로론 라인을 달릴 때보다도 훨씬 기분이 편안하고 마음속에 무언가 차오르는 느낌이 들 정도다. 그 이유는 하늘이 정말 높고, 맑으면서도 푸르기 때문이고 바다가 여느 바다와 다르기 때문이다.

▲ 도쿄에서 온 마코토
ⓒ2006 박세욱

파도가 치지 않고 고요하고 또 낮게 세상을 하늘과 반으로 나누어 가진 듯한 바다기 때문이다. 확실히 다르다. 내가 보고 있는 이 바다가 북해(北海)이기 때문일까? 지금 나는 북한의 가장 북쪽보다도 더 북쪽에서 달리고 있다. 나의 시선이 조금 더 멀리 도달할 수 있다면 러시아가 보일 것이다. 소우야미사키에서 러시아의 사할린 섬까지 불과 43km. 이대로 배를 타고 러시아로 들어가 러시아 대륙을 관통해 유럽까지 거기서 아프리카까지 이어지는…… 상상이 잠시나마 스친다.

달리다가 또 어제 바로 옆에서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불렀던 마코토를 만났다. 도쿄에서 온 대학생인데 사이클링부 활동을 하고 있다. 비행기로 홋카이도에 와서 일부분만 돌아본다고 한다. 친구와 함께 왔는데 달릴 때는 따로, 그러나 머물 때는 같이 머문다고 한다. 나 역시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고 싶어서 함께 달리지는 않았다.

소우야미사키 도착. 드디어…… 드디어 여기까지 왔다!! 마음이 시원해지고 후련해진다. 지금 성급히 글로 표현하면 훼손될 것 같은, 복원시킬 수 없을 것 같은 벅찬 감정. 이곳은 어찌 보면 관광지이기에 볼 것 자체가 무언가 대단하지는 않다.

그러나 나는 쉽게 자리를 뜨지 못한 채 계단에 앉아 바다를 바라본다. 멀리 바라보고 있자니 왠지 걸어서 저 끝까지도 갈 수 있을 것처럼 고요하고 잔잔하다. 그러다 가까이 들여다 본다. 가만 보니 물고기가 엄청나다. 계단이 바다까지 이어져 있어서 한발자국이면 발을 담글 수 있는데 그곳부터 계속 물고기 떼가 바다 속에 보인다.

물반 고기반이라는 것은 이런 걸 두고 하는 말이다. 가지고 있던 식빵을 던져주니 나한테 물보라가 튀길 정도가 된다. 지켜보던 꼬마아이들에게 식빵을 건네주고 나는 자리를 떠난다.

▲ 일본 최북 단지 소우야미사키
ⓒ2006 박세욱
▲ '물반 고기반'이란 이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2006 박세욱

소우야미사키 최북단 비 반대쪽으로 가면 소들을 방목하는 넓은 언덕들과 풍차 50여기가 서 있는 곳이 있다. 어찌 보면 사람들이 최북단지만 보고 이곳을 그냥 지나치기 쉬운데 여기서 바라보는 풍경에 나는 오후에 비가 오든 말든 여기서 더욱 시간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아직 비가 올 듯한 날씨도 아니었고 비가 오면 비를 맞으며 돌아가면 된다. 그래도 행복할 것 같다. 피곤했는지 벤치에 앉아 바다와 방목된 소들을 바라보며 일기를 쓰다가 어느새 잠이 들었다.

▲ 홋카이도를 4번째 일주중인 할아버지
ⓒ2006 박세욱

왓카나이로 돌아가는 길에 한 할아버지를 만났다. 긴 대화는 못했지만 아무리 홋카이도에 자전거 여행자가 많다고는 하지만 할아버지를 만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이 할아버지를 밤에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된다.)

왓카나이에서 방파제 아래에 텐트를 친다. 이곳은 마치 텐트를 치라고 만들어 놓은 곳인 것 같다. 방파제 아래로 무려 400m나 늘어선 오토바이, 자전거 족들의 텐트들은 그 자체로도 관광상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이 들 정도다. 오늘도 제이타쿠다! 하고 외치며 게를 먹어보려 나가보았는데 너무 비싸서 즉각 포기. 밥과 징기스칸 요리로 대신한다.

내 옆에 텐트를 친 앳된 오토바이 라이더가 말을 붙인다. 대학생인데 이제 겨우 만19살. 붙임성이 좋다. 앗! 그런데 오늘 길에서 만났던 할아버지가 지나가신다. 서로 반가워서 할아버지는 아예 의자를 가지고 내 텐트 앞에 앉으신다.

▲ 방파제 아래 텐트들
ⓒ2006 박세욱

벌써 한잔 하셨다는 말씀에 나도 맥주 생각이 난다고 지나가는 말로 이야기하고 잠시 설거지를 하러 갔다 왔는데 나를 기다리고 계신다. 맥주 집에 가자신다. 지갑은 놓고 오라고 하신다. 여기서 또 홋카이도에 도착하던 날, 배에서 만났던 아주머니가 선물해주신 홋카이도만의 특별한 클래식(Classic) 맥주를 마셨다.

▲ 나이와 국적을 초월한 교류. 할아버지의 손가락 V 를 보라.
ⓒ2006 박세욱

그때는 맛을 몰랐는데 맛있다. 게다가 여러 안주들에 나는 배가 터지는 줄 알았다. 할아버지는 벌써 4번째 홋카이도를 자전거로 여행 중. 지금까지 여행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들려주시면서 의미심장한 말씀을 하셨다. 지금 여기서 우리가 만나고 다시 못 만나겠지만 그렇다고 이 만남이 의미 없는 것이 아니라고.

지금 여기서는 이 자전거여행이 아니었으면 경험하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 있다. 만19세 앳된 학생과 만24세의 나 그리고 환갑을 넘으신 할아버지가 모두 오늘 처음 만나 맥주잔을 기울인다. 이곳 왓카나이에서.

/박세욱 기자

- ⓒ 2006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