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향곡 '한국' 작곡 펜데레츠키에게 명예박사학위

2005. 9. 21. 17: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쿠키사회] ○…서울대가 20세기 최고의 작곡가중 하나로 꼽히는 크슈시토프 펜데레츠키(72·폴란드)에게 26일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서울대가 음악가에게 명예박사를 수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33년 폴란드 데비카(Debica)에서 태어나 1955년 크라코프(Cracow) 음악원에 입학한 펜데레츠키는 졸업후 이 음악원의 교수로 일했고 현재는 총장으로 재직중이다.

1959년 바르샤바 작곡가 콩쿠르에서 그의 작품 세개가 나란히 1,2,3위를 차지해 이 분야에서 전무후무한 기록을 가지고 있는 그는 1960년에는 관현악과 현악기·타악기를 위한 '아나클라시스' 및 52개의 현악기에 의한 '히로시마의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등을 통해 작곡가로서의 독자적인 작풍을 확립했다.

자유로운 음악가인 펜데레츠키는 철의 장막을 깨고 1973∼1978년까지 미국 예일대학에 교수로 임용되기도 했으며 지휘자로서도 베를린 필하모닉,비엔나 필하모닉,뉴욕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음악단체와 연간 100회가 넘는 공연을 해 음악을 통한 인류평화의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다.

매년 1∼2 차례 한국을 방문할 정도로 우리나라 음악에도 애착을 갖고 있는 그는 1991년 한국정부의 위촉으로 광복 50주년 기념 교향곡 제5번 '한국'을 작곡해 이듬해 국내에서 초연을 했다. 이 교향곡의 4악장에서 그는 우리의 민요 '새야 새야 파랑새야'의 선율을 주제로 사용해 한국에 대한 친근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서울대 음대 정태봉 부학장은 "펜데레츠키는 한국을 여러차례 방문해 연주 및 강연활동을 한 것은 물론 백건우,장한나,김지연 등과 같은 한국의 재능있는 음악가를 발굴·육성하는 등 우리나라의 음악수준을 세계에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공로가 인정돼 명예박사 수여가 추진됐다"며 "음대 교수중 단 1명도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을 나타내지 않았고 본인도 '상당히 명예스럽고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노용택기자nyt@kmib.co.kr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The Kukmin Daily Internet News]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