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유을 학생 오셨능교?" "예, 왔심더"

우성덕 기자(wsd@mk.co.kr) 2023. 1. 25. 16: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왕년의 수학교사 이철우지사
칠곡할매들에게 일일수업
'칠곡할매글꼴' 주인공들
교복 곱게 차려입고 수업 참여
도민행복대학 졸업장도 받아
"우리 동네에 사람 많아졌으면"
25일 경북도청에서 교복을 차려입은 '칠곡할매글꼴' 할머니들과 일일 교사로 나선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경북도】

25일 오전 11시 경북도청 1층에 마련된 한 전시실에는 검은색 교복을 예쁘게 차려입은 할머니 4명이 수업을 기다리며 설레는 표정으로 앉아 있었다. 전시실은 나무 책상과 의자 등을 가져다 놓고 옛 교실 풍경을 재현해 놨다. 수업을 기다리던 할머니들은 '칠곡할매글꼴' 주인공들이다. 이날 수업에는 건강상 이유로 참석하지 못한 최고령자인 이종희 할머니(91)를 제외하고 추유을(89), 이원순(86), 권안자(79), 김영분(77) 할머니가 모두 참석했다. 잠시 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교실로 들어오자 할머니들이 "안녕하세요"라고 웃으며 인사를 건넸다. 이어 반장을 맡은 김영분 할머니가 일어서서 구호에 맞춰 "차렷, 선생님께 경례"라고 인사하자 이 도지사는 큰절로 화답했다.

어려운 가정 형편 탓에 학교에 다니지 못했던 칠곡할매글꼴 할머니들과 40년 만에 교사로 돌아와 분필을 잡은 이 도지사의 '마지막 수업'이 잔잔한 감동을 자아냈다.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수학 교사로 7년간 교단에 섰던 이 지사는 이날 할머니들의 일일 교사가 됐다. 수업에 앞서 이 도지사는 할머니 한 분 한 분의 이름을 부르며 출석을 체크했고, 가족과 우리나라 근대화를 위해 헌신한 할머니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이 지사는 할머니들에게 단어를 불러주며 받아쓰기 시험을 치렀고 빨간 색연필로 직접 점수를 매겼다.

30여 분간의 수업이 끝나자 할머니들은 경북도가 운영하는 '경북도민행복대학' 명의로 졸업장을 받았고 학사모도 썼다. 이날 수업에는 일제강점기 우리말 연구와 보급에 앞장섰던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70)이 화환을 보내 수업의 의미를 더했다.

졸업장을 전달받은 할머니들은 이 지사에게 감사의 표시로 '칠곡할매글꼴'이 적힌 액자를 전달했다. 액자에는 "할매들은 지방시대가 무슨 말인지 잘 몰라예. 우짜든지 우리 동네에 사람 마이 살게 해주이소"라고 적혀 있었다.

이어 이 지사와 김재욱 칠곡군수 등은 도청에 마련된 '칠곡할매글꼴 사진전'을 할머니들과 함께 둘러본 후 1시간 동안 진행된 마지막 수업의 모든 일정을 마무리했다.

김영분 할머니는 "우리 할머니들은 가난과 여자라는 이유로, 때론 부모님을 일찍 여의거나 동생 뒷바라지를 하느라 학교에 가지 못했다"며 "오늘 수업을 통해 마음에 억눌려 있던 한을 조금이나마 푼 것 같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 도지사도 "칠곡 할머니의 글씨를 처음 보는 순간 돌아가신 어머니 모습이 떠올라 가슴이 먹먹했다"며 "어르신이 남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계승·발전시켜 평생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널리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칠곡할매글꼴은 칠곡군이 마련한 성인 문해 교육을 통해 일흔이 넘어 한글을 깨친 다섯 명의 칠곡 할머니가 넉 달 동안 종이 2000장에 수없이 연습한 끝에 2020년 12월 제작된 글씨체다. 현재 한컴오피스와 MS오피스 프로그램에 정식 탑재됐고 국립한글박물관 문화유산에도 등재됐다. 올해 초 윤석열 대통령도 신년 연하장에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해 화제가 됐다.

[칠곡/우성덕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