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저조한 투표율과 저급한 진영 싸움에 내맡겨진 서울 교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사전투표율이 8.28%로 2014년 사전투표제 도입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조희연 전 서울교육감이 해직 교사 부당 채용으로 당선 무효형을 받아 치러지는 이번 보궐선거는 보수 진영 조전혁 후보와 진보 진영 정근식 후보의 양강 구도가 굳어지는 모양새다.
2022년 서울시교육감 선거 당시 보수 진영 후보 3명의 득표율은 53%였으나 진보 진영 단일 후보인 조 전 교육감이 득표율 38%로 당선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7년부터 직선제로 선출되는 교육감은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당 개입을 배제하고 있다. 교육 정책이 진영에 치우쳐선 안 된다는 취지였으나 교육감 선거를 유권자들이 외면하는 ‘깜깜이’로 만들고 진영 싸움을 고착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당 공천을 받지 않는 교육감 후보는 인지도가 떨어지다 보니 더 치열한 진영 대결이나 네거티브 공방의 유혹을 받게 된다. 이번 보궐선거에서도 조 후보는 “좌파 교육 척결”, 정 후보는 “친일 교육 심판” 등 노골적으로 이념을 앞세웠다. 두 후보는 선거 현수막 색상을 각 정당의 상징색과 통일하는 방식으로 정치색을 드러내고 있다.
후보가 난립해 진영 내 후보 단일화가 선거 승패를 가르는 것도 문제다. 2022년 서울시교육감 선거 당시 보수 진영 후보 3명의 득표율은 53%였으나 진보 진영 단일 후보인 조 전 교육감이 득표율 38%로 당선됐다. 후보 단일화가 이뤄지면 정당서 물밑 지원을 하는 것도 공공연한 비밀이다. 교육감 선거는 시도지사 선거와 마찬가지로 광역 단위로 치러진다. 정당 개입 없이 개인이 조직을 동원하고 비용을 댈 수 있는 규모가 아니다.
이처럼 교육감 선거는 제도 설계의 취지와 달리 정치적 중립성이 지켜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선거를 거듭할수록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를 위한 정책 대결은 실종되고 저급한 진영 대결로 변질되고 있다. 지방자치를 담당하는 시도지사와 교육자치를 담당하는 교육감을 ‘러닝메이트’로 통합하는 방안 등 다양한 대안을 놓고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논의해야 한다. 언제까지 유권자가 후보 이름도, 공약도 모르는 깜깜이 선거로 초중고 교육의 미래를 결정할 순 없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의협 ‘정부 뺀 협의체’ 논의…李 “정부 개방적으로 나와야”
- 귀국 尹, 마중나온 韓과 대화없이 악수만…24일 만찬 ‘갈등 분수령’
- ‘의료계 블랙리스트’ 작성 32명 중 30명은 의사…2명 의대생
- 檢, ‘文 前사위 특채 의혹’ 관련 前 청와대 행정관 27일 소환
- 곽노현, 진보 교육감 단일화 경선 탈락…강신만-정근식-홍제남 압축
- 이재명 사법리스크 재점화에…민주당 “법 왜곡죄 상정”
- “거짓말처럼” 하루만에 8.3도 뚝↓…불쑥 찾아온 가을
- 故장기표, 김문수에 “너부터 특권 내려놓으면 안되겠나”
- “연금개혁안 도입되면 75·85·95년생 150만원 더 낼 수도”
- “천석꾼 가세 기울었어도, 독립운동 아버지 원망은 이제 안 해요”[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