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피격' 사건으로 구속 위기 서훈…"정보 은폐, 삭제 사실 아냐"

정경훈 기자 2022. 11. 30. 20: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첩보 삭제와 월북몰이의 윗선으로 지목받는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은폐를 시도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서 전 실장의 변호인은 30일 입장문을 통해 "2020년 9월23일 새벽 1시 회의 당시 관련 첩보를 국방부, 국가정보원, 안보실, 통일부 등 여러 부처가 공유하고 있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윤석열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가 주최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및 흉악범죄자 추방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2022.10.27.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첩보 삭제와 월북몰이의 윗선으로 지목받는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은폐를 시도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서 전 실장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있다.

서 전 실장의 변호인은 30일 입장문을 통해 "2020년 9월23일 새벽 1시 회의 당시 관련 첩보를 국방부, 국가정보원, 안보실, 통일부 등 여러 부처가 공유하고 있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실무자들을 포함하면 200~300명이 넘는 인원이 이를 알고 있던 상황"이라고 했다.

변호인은 "첩보의 출처보호와 신뢰성 확인을 위해 공식발표까지 보안유지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했다.

북한군 총격에 숨진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씨 월북과 배치되는 정보를 삭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영장범죄사실 어디에도 월북과 배치되는 첩보를 선별·삭제했다는 내용은 없다"고 했다.

이어 "남북관계를 고려해 월북으로 몰고갔다는 것이 검찰의 시각"이라며 "그러나 월북자를 사살하는 것은 오히려 북한체제의 잔혹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남북관계에 대한 고려와는 배치된다"고 했다.

아울러 "국가안보와 관련한 중대하고도 급박한 상황에서 여러 부처에서 수집된 제반 첩보를 기초로 정책적 판단을 한 것"이라며 "이를 사후적으로 사법적 판단을 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다.

검찰은 최근 서 전 실장에 대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법원은 다음달 2일 오전 10시 영장실질심사를 진행한다.

서 전 장관은 이대준씨가 숨진 2020년 9월23일 새벽 1시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충분한 근거 없이 이씨가 자진 월북했다고 판단하고, 서욱 전 국방부 장관, 박지원 전 국정원장 등에게 이와 배치되는 첩보를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관련기사]☞ 조세호, 이용진 축의금 50만원 vs 유재석 결혼에 5만원…왜?'이승기 0원 정산' 권진영, 명품매장서 법카 쇼핑…28억 횡령 의혹"김민희, 63세 ♥홍상수 위해 운전하더라"…7년 열애 목격담73세 박원숙 한밤 화장실서 사고…"넘어져 턱 4바늘 꿰맸다"공윤희, 배구선수 은퇴→왁싱숍 사장 "만족하는데, 고민은…"
정경훈 기자 straight@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