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혼자 산다는 몇 평일까요?

조회수 2024. 4. 29. 17:32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나혼자산다 는 몇평?
정답! 원룸


잘만 찾아보면 정부에서 공급하는 다양한 공공임대주택을 발견할 수 있어요. 청년이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당장 내집마련하기 힘든 계층을 위해 정부가 저렴이로 공공임대해주는 제도죠.

그런데 지난달 공포한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조금 시끌시끌해요. 임대주택의 ‘세대원 수 별 공급 면적 제한’을 새롭게 조정했는데요. 여기서 1인가구의 면적이 줄어든 것이죠.👇

나혼자산다: 전용 면적 35㎡ 이하
2인가구: 25㎡ 초과 44㎡ 이하
3인가구: 35㎡ 초과 50㎡ 이하
4인가구: 44㎡ 초과


나혼자산다가 원래 40㎡-> 35㎡ 이하로 줄어들었어요. 그럼 전용면적 약 10평정도가 돼요. 네이버에서 '평수 계산기' 치면 바로 환산할 수 있어요.

네이버


🔔 잠깐!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이거 헷갈릴 수 있는데요, 전용면적은 우리집 문을 열고 들어선 순간부터의 면적이에요. 나만의 전용공간을 말하죠. 반면 공용면적은 아파트 계단이나 복도 등의 면적을 더한 거예요. 그리고 '전용+공용=공급면적'이라고 합니다.

리얼캐스트


아래 청약 공고문을 보면 여러 용어가 나열되어 있어요. 맨 왼쪽의 전용면적을 보고 '아~몇평이구나'를 짐작하면 되고, 가운데 공급면적으로 전체적인 면적을 가늠할 수 있죠.

tmi를 하자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몇평이야?'를 더 많이 쓰는데 공식적 문서에서 '평'이란 단어보다 ㎡로 표기하는 이유가 뭘까요?

바로 '평' 단위는 원래 일본에서 사용되던 면적의 단위입니다. ㎡는 국제적 표기이기 때문에 일본 잔재를 없애고 국제적 표준을 따르기 위한 노력이죠.🤓


뭐가 불만인데?

다시 돌아와서, 1인가구 면적을 원룸형으로 줄이다보니 '나혼자산다'가 패널티냐란 의견이 나오고 있어요.

그렇지만 이번 개정안의 초점은 '저출산 극복'에 있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이기 때문에 제공 가능한 주택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어요. 모든 이들을 만족할 수 없는거죠.

현재 국가적 큰 이슈는 '저출산'입니다. 이들에게 좀 더 많은 혜택을 줘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들이 제약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거예요.

시끌시끌한만큼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나혼자산다가 죄냐, 역차별이다' vs. '해당 제도의 취지는 출산율 극복이다, 모두를 만족할 수 없다' 입니다.


부동산 뉴스를 쉽게 읽고 싶다면


GTX-A 일부 구간이 개통하면서 동탄 집값이 천정부지로 뛰고 있어요. 이미 오른 곳 말고 앞으로 오를 곳을 두부가 찾아드릴게요. 두부 유튜브 구독과 좋아요 꾸욱 눌러주시면 '이런 아파트가 있었어?' 놀라운 시리즈를 계속 만날 수 있답니다😉

[두부 유튜브 바로가기]


두부레터를 매일 만나고 싶다면 두부 텔레그램으로 놀러오세요! 매일 쏟아지는 부동산 뉴스를 짧게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두부 텔레그램 바로가기]


#지식토스트, #지식토스트_모닝브리핑, #두부레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