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는 부동산 팔고 30대는 주식 팔아 집 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존에 보유하던 부동산과 주식을 팔아 주택 매입 자금을 마련한 주택매입자 비율이 올해 들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주식·채권을 팔아 집을 산 비율은 30대가 17.0%로 가장 높았으며 20대(16.4%), 40대(13.7%), 50대(11.4%)가 뒤를 이었다.
또 올해 1∼8월 주택 매입자금 출처를 '증여·상속'으로 신고한 20∼30대 비율은 22.7%로, 지난해(17.8%)보다 4.9%p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0대 65.4% ‘부동산 처분해 자금 마련’
‘주식·채권 팔아 자금마련’ 20∼30대 증가
기존에 보유하던 부동산과 주식을 팔아 주택 매입 자금을 마련한 주택매입자 비율이 올해 들어 크게 증가했다.
20∼30대에선 주식·채권 매각을 통한 ‘영끌’이, 40∼50대에선 기존 주택을 팔아 새집으로 옮기는 ‘갈아타기’ 증가가 컸다.
반면 전세금을 받아 집값을 충당하는 갭투자는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14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에게 제출한 ‘주택 자금조달계획서상 자금조달 방법별 구분’ 자료를 보면 올해 1∼8월 전국 주택 매수자(계약일 기준)가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57.8%였다.
이 비율은 2022년 27.0%에서 지난해 55.5%로 대폭 늘었고 올해도 증가세를 보여, 집값 상승세와 함께 ‘갈아타기’가 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금조달계획서는 주택 매수자가 주택을 취득할 때 사용할 자금의 출처와 조달 방법을 신고하는 서류다.
주택 가액이 6억원 이상이거나, 투기과열지구인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서울의 경우 올해 1∼8월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이 11억7000만원이기에 아파트 매입자 대부분이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대상이다.
그간 매수를 보류했던 40대 이상이 올해 ‘상급지로 갈아타기’ 매매에 적극 뛰어들면서 40대 주택 구매자의 65.4%는 부동산을 처분해 집 살 돈을 마련했다고 신고했다. 50대는 57.0%, 30대는 51.8%였다.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마련했다고 신고한 40∼50대 비율은 2022년 29.2%였으나 지난해 58.6%, 올해 1∼8월 62.3%로 높아졌다. 20∼30대에서 이 비율은 2022년 20.8%에서 올해 49.9%로 늘었다.
‘주식·채권 매각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도 늘었다.
2022년 4%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6.3%, 올해 1∼8월 13.8%로 급증했다. 올해 주식·채권을 팔아 집을 산 비율은 30대가 17.0%로 가장 높았으며 20대(16.4%), 40대(13.7%), 50대(11.4%)가 뒤를 이었다.
주식을 팔아 집을 산 20∼30대는 2022년 5.9%에서 2년 새 17.0%로 3배 가까이 늘었다. 40∼50대 역시 이 비율이 3.4%에서 12.9%로 뛰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올해 ‘영끌’ 매수에 나선 30∼40대가 가용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주식까지 처분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은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인 주식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글로벌 금융투자 세대’인데, 투자처가 최종적으로는 부동산으로 가고 있다”고 전했다.
연령대별 자금조달계획서 제출을 따져보면 올해 들어선 40대가 2만7173건(18.1%)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만4623건(16.4%)으로 뒤를 이었다.
또 올해 1∼8월 주택 매입자금 출처를 ‘증여·상속’으로 신고한 20∼30대 비율은 22.7%로, 지난해(17.8%)보다 4.9%p 증가했다.
반면 갭투자 비율은 낮아졌다. 자금조달계획서상 임대보증금을 승계해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올해 1∼8월 36.8%다. 2022년 44.6%에서 지난해 35.8%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소폭 상승했다.
이전 집값 상승기 때보다 대출 규제가 완화되고, 갭투자가 아닌 ‘갈아타기’가 부동산 시장의 트렌드가 되면서 금융기관 대출액으로 매입 자금을 조달했다는 비율이 증가한 것도 눈에 띌 만한 부분이다.
자금 출처가 ‘금융기관 대출액’이라고 신고한 주택 매입자는 지난해 44.1%에서 올해 1∼8월 68.7%로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81.8%가 대출이 자금 출처라고 신고했고, 40대 73.8%, 20대 60.5%, 50대 56.0%였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동학대 혐의' 손웅정 감독 등 벌금 300만원 약식명령
- 국정원 요원 2명 네팔서 공무 중 사망 뒤늦게 알려져
- 주한미군 최초 한국계 사령관 되어 돌아온 춘천 소년
- '의아한 형제들' 된 배민… "점주가 음식값 할인해야 수수료 인하"
- ‘청탁금지법 위반·성추행 혐의’ 김진하 양양군수 사무실 압수수색
- 문다혜씨 소유 차량 2대, 최소 11차례 과태료…압류 처분도
- '꼭두새벽'부터 공무원 깨운 까닭은?
- ‘응급실 난동’ 현직 여경, 1계급 강등처분 중징계
- 불타는 차량서 의식 잃은 탑승자 2명 구조한 고성군청 공무원들 귀감
- 900일 넘게 입원하고 보험금 1억원…60대 사기죄 실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