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률 찔끔 올랐는데 집값은 쑥…정책대출 쏟아낸 정부 ‘우왕좌왕’

이희수 기자(lee.heesoo@mk.co.kr), 김유신 기자(trust@mk.co.kr), 이지안 기자(cup@mk.co.kr) 2024. 10. 28. 21: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택구입 걱정없게 하겠다”
청년층 주택마련 팍팍 밀더니
집값 오르자 돌연 규제 시작
“낳으란 건지 말란 건지” 혼란
신혼부부 청약·임대 우대 정책
일반 서민용 임대주택 줄고
청약시장선 세대갈등 문제도
‘저출생 극복인 먼저인가, 집값 안정이 우선인가.’

최근 디딤돌대출을 비롯한 정부 정책이 오락가락하는 건 바로 이 딜레마 때문이다. 그간 국내 정책에서 재정·금융 정책이나 집값 관리 정책이 항상 최우선 순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저출생과 인구 감소라는 국가적 비상 상황이 닥쳐오면서 인구 정책과 우선 순위를 다투게 됐다. 결혼·출생을 장려하기 위해 대출 지원정책이 필요하지만 가계부채 급증과 집값 상승을 잡기 위해서는 정책 문턱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올 들어 수도권 집값이 오르고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부채를 관리하는 금융당국을 중심으로 늘어난 주택 관련 정책대출을 조여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 나왔다. 28일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대표적 정책대출인 디딤돌대출 잔액은 올 들어 지난 달까지 약 18조원이 늘었다. 올해 1월 34조2717억원이었던 디딤돌대출 잔액은 매달 급증해 지난달 52조5430억원으로 불어났다.

디딤돌대출은 연 소득이 낮은 무주택 서민이 5억원(신혼 6억원) 이하 주택을 살 때 최대 2억5000만원(신혼 4억원)을 낮은 금리로 빌려주는 상품이다. 그런데 이 대출 잔액이 급증한 배경에 저출생 대책이 있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10월 디딤돌대출을 받을 수 있는 신혼부부의 연 소득 기준을 7000만원에서 8500만원으로 확대했다. 결혼을 장려하기 위한 차원이다.

올해 1월에는 디딤돌대출의 새로운 유형으로 ‘신생아특례’를 내놨다.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안에 출생한 가구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서다. 없던 유형이 생기니 자연히 디딤돌대출 규모도 꾸준히 늘었다. 신생아특례대출 잔액은 2월 1976억원에서 지난달 4조7793억원까지 훌쩍 뛰어올랐다. 그런데도 올 초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곤두박질친 것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결국 정부는 지난 4월 이 대출을 신청할 수 있는 부부의 연 소득 요건을 연내 1억3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두 달 만인 6월엔 이 소득 요건을 내년부터 2억원에서 2억5000만원으로 더 올리겠다고 또 한 차례 수정했다. 하지만 가계대출 급증에 대한 우려로 아직 신생아특례에 대한 소득 요건 완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올해 7~8월은 올 들어 집값 상승률이 폭증하며 소위 신혼부부·청년층의 ‘영끌’ 현상이 일어났던 시기다. 청약시장에서도 신혼희망타운을 비롯해 신혼부부와 출생가구·다자녀 가구 우선 정책이 지난해부터 강화되면서 영끌 현상을 부추겼다.

아이러니하게도 집값이 뜨거웠던 이 기간 바닥을 기던 출생아수는 반등했다. 통계청 ‘인구 동향’에 따르면 7월(2만601명)에 8월(2만98명)으로 두 달 연속 2만명대를 기록했다. 특히 8월 출생아 증가율은 8월 기준으로 2010년(6.1%) 후 14년만에 가장 높았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출산을 앞두거나 출산을 계획하는 신혼부부 등이 오르는 집값을 보면서 더 늦기 전에 영끌 행렬에 참여한 영향이 컸다”며 “수도권에선 정부가 올해 도입한 신생아특례대출도 한몫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긍정과 부정의 효과가 섞여 있었지만 금융당국은 치솟는 집값과 가계대출 증가에만 주목해 비상등을 켜고 달린 것이다. 금융당국은 부랴부랴 주택담보 대출 이자율을 올리라는 신호를 은행에 줬고 은행들은 금리를 올리고 대출 심사를 강화하느라 야단법석을 피웠다. 이번 국토부의 디딤돌대출 축소 조치도 금융위 주재 가계부채 점검 회의 직후 이뤄진 조치다.

김세완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인구정책은 정말로 숨이 긴 정책이어서 효과가 몇십 년에 걸쳐서 천천히 일어나기 때문에 효과가 빠르게 일어나는 재정·금융정책에 비하여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결국 오히려 디딤돌 대출 한도를 축소하는 정책이 공지 없이 시행됐다가 잠정 유예되고 또 정반대로 같은 성격의 신생아특례대출은 또 대상을 확대키로 하자 수요자들은 혼란이 커진 상황이다. 각종 저출생지원정책 덕에 겨우 출산율이 반등하는 가운데 섣부른 규제와 번복이 반복되며 분위기에 찬 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저출생 정책과 충돌하는 정책은 단지 대출뿐이 아니다. 주택 공급을 놓고 세대 간 충돌 문제도 야기 중이다. 서울시가 신혼부부를 위해 새롭게 출시한 장기전세주택II(미리 내집)가 대표적인 예다. 장기전세주택II는 신혼부부나 예비신혼부부에게 공급하는 임대주택으로 당첨 때 최장 20년간 거주할 수 있다. 특히 2자녀 이상 출생 가구는 시세보다 최대 20% 저렴하게 해당 주택을 매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해 ‘오세훈표 저출생 대책’으로 화제가 됐다.

하지만 이러한 임대주택 유형이 신설되며 노부모 부양가족과 소외계층 가구에 배정되는 임대주택 물량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에 따라 서울시가 전체 국민임대주택의 최대 50%를 장기전세주택II로 배정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저출생이 국가 전체적 극복 과제인 만큼 장기전세주택II 비중을 50%에서 더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국토교통부와 논의 중이다.

이러한 딜레마 상황과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그런 문제를 인지하고 있다. 임대주택 물량 총량을 늘려 소외계층에게 배정되는 임대주택 물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