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오빠’ 남편이면 바보, 친오빠면 농단…본질은 대선 조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 오빠가 누구인지 대통령실 말고 김건희 여사가 직접 답하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6일 최고위원회에서 "대통령실의 신속 대응에도 불구하고 그 오빠가 친오빠라고 믿을 국민은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카카오톡 대화의 오빠는 친오빠라는) 대통령실의 해명이 맞다면 또 다른 비선 개입 아니겠냐. 거짓이라면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 오빠가 누구인지 대통령실 말고 김건희 여사가 직접 답하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6일 최고위원회에서 “대통령실의 신속 대응에도 불구하고 그 오빠가 친오빠라고 믿을 국민은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민주당은 전날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가 공개한 김 여사와의 카카오톡 대화 내용 중에 등장한 ‘우리 오빠’가 누구인지를 두고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김 여사의 ‘국정 개입 의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명씨의 거듭된 폭로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던 대통령실이 카톡 내용에는 거의 실시간 대응을 하는 걸 보면 김 여사가 실질적 통치자인 것이 분명하다”며 “모른 척하면 할수록 대통령 부부에 대한 의혹은 커지고 정권의 몰락만 앞당겨질 뿐”이라고 주장했다.
“명태균 비선 드러나…본질은 대선 조작”
김민석 최고위원은 “오빠가 누구냐는 ‘바이든-날리면’에 이어 두번째 국민 퀴즈다. ‘남편 오빠’면 바보가 되고 ‘친오빠’면 농단이 된다”며 “일단 챗지피티(GPT)의 답은 ‘친근한 남편 오빠’”라고 비꼬았다. 그는 “오빠가 누구건, 본질은 대선 조작”이라면서 "고발도 못 할 만큼 완전 의지하는 명 선생의 여론 신기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홍준표에서 윤석열로 바꾼 것이냐"고 말했다.
전현희 최고위원도 “‘철없는 오빠’가 지금 대한민국호 선장이라는 사실이 믿고 싶지 않다”며 “중요한 것은 대한민국을 쥐락펴락하는 비선 실세 김 여사 위에 ‘명태균 비선’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국민들은 이제 오빠가 누구인지 궁금하지도 않다”며 “이 막장 드라마가 하루라도 빨리 종방되기를 고대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김병주 최고위원은 전날 명씨가 인터뷰를 통해 카카오톡 대화 속 오빠는 대통령이 맞다며, ‘친오빠’라는 대통령실의 해명을 반박한 것을 상기시키며 “봉숭아학당이냐. 바로 들통날 역대급 코미디”라고 비난했다.
한민수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카카오톡 대화의 오빠는 친오빠라는) 대통령실의 해명이 맞다면 또 다른 비선 개입 아니겠냐. 거짓이라면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변인은 이어 “명태균씨 폭로전으로 김건희 여사의 국정농단 의혹 실체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통령실 해명이 더욱더 의혹을 부추기는 상황이라, 결국 김건희 특검법을 통한 진실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회의에서 나왔다”고 전했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속보] 서울시교육감 절반 개표…더불어민주당 정근식 당선 유력
- ‘보수 원로’ 윤여준, 김건희 오빠 논란에 “나라 망신…한숨이 푹푹”
- [속보] 전남 곡성군수 재선거, 더불어민주당 조상래 당선
- ‘오빠=친오빠’ 즉각 입장 낸 대통령실, ‘여론 조작’ 의혹엔 함구
- 보도블럭 바로 옆에 ‘2m 뱀’…의정부에서 구렁이 봤잖아
- 이스라엘, 엿새 만에 베이루트 또 공습…“시장 등 5명 사망”
- ‘부정수급’ 낙인 시각장애인…숨진 지 42일 만에 땅에 묻혀
- KBS 사장 후보 3명으로 압축…박민·박장범·김성진
- ‘투스타’ 국힘 강선영 ‘태풍에 골프 중단 항의’…“군이 언론플레이”
- 노벨문학상 보유국의 품격 버렸나…‘강제 폐관’ 작은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