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생생비즈

물가상승률 석달째 2%대...업체들 줄인상에 가공식품·외식 가격↑

조회 172025. 4. 2. 수정

"요즘 만원짜리 한장 들고 나가서는 한 끼도 해결 못해요."

지난달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등 먹거리 물가가 크게 치솟았다.

연초 국제 원료 가격 인상과 정치적 혼란 등으로 식품업체들이 가격을 줄지어 인상했던 게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는 지적이다.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 신선식품 매장. / 롯데마트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6% 올랐다. 증가폭은 지난해 1월(3.2%) 이후 14개월 만에 최대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116.29로 전년 동월 대비 2.1% 오르며 3개월 연속 2%를 넘어섰다. 2%는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 목표로 제시한 수치다.

소비자물가는 작년 9월(1.6%)부터 12월(1.9%)까지 4개월간 1%대 상승을 유지했지만 올해 들어 1월(2.2%)과 2월(2%)에 이어 3월까지 세 달 연속으로 2%대를 기록했다.

지출 비중이 높아 소비자가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느끼는 144품목을 추려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2.4% 상승하며, 5개월째 전체 물가 상승폭을 넘어섰다.

특히 커피(8.3%)와 빵(6.3%) 등 원재료값이 오른 품목들의 가격 인상폭이 컸다. 업체들이 정치적인 혼란으로 정부 관리가 느슨해진 틈을 타 국제 원료 가격 인상과 인건비 등 비용상승을 이유로 연초 줄지어 가격을 올린 것이다.

지난달 외식 업체들도 식품 가격 인상을 이유로 줄줄이 가격을 올렸고, 이는 고스란히 외식 물가에 반영됐다.

서울 시내 한 유명식당의 설렁탕 가격은 1만4000원이다. / 생생비즈

외식 물가는 지난 2월(3%)에 이어 지난달에도 3% 상승했는데, 생선회(5.4%)와 치킨(5.3%) 등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외식 품목들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가격 변동이 큰 식품과 석유 등을 제외한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오르며 6개월째 1%대를 유지했다.

연초 물가를 끌어올린 주범이었던 석유류 가격은 미국의 석유 증산 등 국제 유가가 떨어진 게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지난달 들어 2.8% 오르는 데 그쳤다. 전월 대비로는 휘발유(-2.1%)와 경유(-2.2%) 모두 일제히 가격이 떨어졌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프로필 이미지
생생비즈
구독 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