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기내 배터리 화재 증가···2020년 2건→지난해 6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하늘길이 확대되며 기내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화재 건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이후 발생한 기내 배터리 화재는 총 13건이다.
기내 배터리 화재는 코로나19 팬데믹이었던 2020년 2건, 2021년 0건, 2022년 0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6건, 올해(1~8월) 5건을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하늘길이 확대되며 기내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화재 건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이후 발생한 기내 배터리 화재는 총 13건이다.
기내 배터리 화재는 코로나19 팬데믹이었던 2020년 2건, 2021년 0건, 2022년 0건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6건, 올해(1~8월) 5건을 기록했다.
보조배터리는 항공 위험물로 분류돼 위탁하지 않고 승객이 기내에 소지한 채 탑승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화재 진압에 소요된 시간은 대부분 1∼5분 이내였다.
지난 2020년 이후 지난 8월까지 항공사별 기내 배터리 화재 건수는 대한항공 4건, 제주항공·에어부산 2건, 아시아나항공·진에어·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에어프레미아 1건 등이었다.
위탁수하물에 들어간 배터리를 발견하지 못하고 검색 실패하는 일도 늘고 있다. 배터리가 위탁수하물로 들어가면 물리적 충격, 온도 변화에 따라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커진다.
전국 공항에서 발생한 배터리 검색 실패 건수는 2020∼2022년 0건, 지난해 1건, 올해 3건이다.
국적 항공사는 기내 화재 대응 매뉴얼에 따라 기내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기로 초기 진압을 실시한 뒤 재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물이나 비알콜성 액체를 부어 보관하도록 정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출시되는 보조배터리는 과거보다 얇고 작아지면서 좌석 틈으로 끼어 압력에 의해 화재가 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며 "승객과 항공운송 사업자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최지영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팔 절단 운전자’ 출근 중 원피스 끈 풀어 살린 8개월차 소방관
- 국군의날 시가행진 동원된 사관생도들, 수업일수 못채워 내년 개강 늦춰야...
- 신부 아니라고? 결혼식장서 ‘섹시댄스’ 춘 장모님
- 음주 단속에 “곧 승진이니 사례하겠다”던 공무원, 실제 승진했다가 뒤늦게 취소
- 최동석, 박지윤에 상간소송 맞불 …진흙탕 싸움
- 차기 대통령 선호도 이재명 41.2%, 한동훈 19.3%…70대 이상서만 한동훈 우위
- 한동훈 빠진 만찬서 尹대통령 “의료개혁 반드시 필요, 일당백 국감 되길”
- 수원서 노상에 있던 전기차 화재…“배터리서 연기난다” 운전자 신고, 1시간30여분만에 초진
- [속보]광양 23층 아파트서 투신 19세女…극적 구조 성공
- 수학여행 버스화재 25명 사망…기사는 도주 ‘발칵 뒤집힌 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