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상장애] 누군가 자신을 감시하는 것 같다면?

조회 1082025. 3. 25.

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망상은 공상과는 완전히 구별되는 개념으로 현실과 갈등을 일으키는 고정된 또는 잘못된 믿음을 의미합니다. 망상의 내용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이지만, 강한 확신을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이들은 자신의 믿음과 상반되는 증거를 발견하더라도 잘못된 믿음이 수정되지 않고 지속된다는 것입니다.

망상이라는 증상이 나타나는 정신과적 질환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조현병, 조울병, 치매, 망상장애, 심한 우울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망상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특정인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는 믿음의 망상인 색정망상(Erotomanic Delusion)이 있습니다. 보통 상대는 높은 사회적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 설정되며, TV에 나오는 유명 아이돌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으며, 특정 행동으로 자신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고 믿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과대망상(Grandiose Delusion)은 개인이 엄청난 능력이나 유명세, 부 혹은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것입니다. 보통 신이 자신에게 히어로와 같이 보통의 사람들은 가지고 있지 않는 능력을 주었고, 이를 활용하여 사람들을 지켜야 하는 임무를 내렸다고 믿는 내용의 망상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망상으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피해망상(Persecutory Delusion)이 있습니다. 임상 현장에서도 가장 흔하게 접하는 망상으로 이들은 자신이 감시를 당하고 있고, 누군가로부터 쫓기고 있으며 박해를 당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이 외에 배우자나 애인이 자신을 배신하고 다른 이와 외도를 하고 있다는 질투망상, 신체의 특정 부위가 잘못되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고 믿는 신체망상 등이 있습니다.

사진_ freepik

망상을 하게 되는 명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진 바가 없지만, 유전, 생물, 심리,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추론하고 있습니다. 망상이 흔하게 나타나는 조현병, 조울증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인이 어느정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습니다.

대체로 겉으로 보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나 주변 사람에 대해 의심이 많고 적대적이고 편파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망상이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며 복잡한 경우가 많으나 기억력이나 지적인 능력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부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의심이 많고 냉담하여 치료를 시도하거나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제대로 된 치료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과 인내가 필요합니다. 치료를 할 때는 망상의 내용에 대해 비판하거나 동조하여서도 안 되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비밀을 전적으로 지킨다는 신뢰감이 필요합니다.

치료적 목표는 우선적으로 망상을 없애기보다는 사회적으로 적응을 잘하고 타인에 대한 의심이나 적대감을 없애며, 환자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문제나 응어리들을 잘 들어주어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상담 등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는 하지만, 환자와 관계를 잘 형성하고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경우 치료적 예후는 좋은 편입니다. 자신이나 남을 해칠 가능성이 적으면 외래치료만으로도 해결될 수 있지만, 망상의 정도가 심해 공격적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면, 입원 치료를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사당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최강록 원장

[참고문헌] Carol Tamminga. (2022). 망상성 장애. MSD 매뉴얼.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