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사기업 취업하는 데도 몇 년씩 걸리는데, 온갖 스펙 쌓느니 차라리 시험공부를 하는 게 나아요.”
22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의 한 공무원 학원. 9급 공무원 시험 전략 설명회에 방문한 신모 씨(27세·여)가 깊은 한숨을 내쉬며 공무원 준비 계기를 털어놓았다. 영하권 추위에도 설명회에는 50여 명이 넘는 이들이 몰려들어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강사가 “2년 안에 합격하려면 바뀐 출제 기조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자 몇몇은 고개를 끄덕이며 열심히 강의 내용을 받아 적었다.
이날 설명회를 찾은 청년들 대부분이 신씨처럼 말했다. 공무원 시험 준비를 막 시작했다는 김혜지(25)씨는 한 회사에 취직했지만 잦은 야근에 시달리다 1년 만에 퇴사했다. 김씨는 "일반 중소기업은 시간외 근무 수당도 어물쩍 뭉개버리고, 채용 과정에서 떨어져도 이유를 알 수 없어 답답하다”며 “전전긍긍하느니 합격 기준이 명확하고 초과 수당도 합법적으로 챙겨주는 공무원이 더 나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경기 불황과 취업난이 장기화하며 ‘MZ 세대’로부터 외면받던 9급 공무원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의 공무원직 처우 개선과 함께 사기업 채용 시장이 쪼그라든 결과 공무원직의 ‘안정성’에 매력을 느끼는 취준생들이 오랜만에 늘어나는 분위기다.
앞서 이달 8일 인사혁신처는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24.3대 1을 기록하며 지난해보다 상승했다고 밝혔다. 선발 예정 인원은 지난해 4749명에서 올해 4330명으로 줄었지만 지원자는 10만 3597명에서 10만 5111명으로 증가했다. 9급 공채 경쟁률은 2016년(53.8대 1) 이후 하락곡선을 그리다 이번에 9년 만에 반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