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긋난 배치와 개방감 돋보인 오창 주택 ‘두선재’
오창 단독주택 ‘두선재逗旋齋’는 건축주의 전원생활에 대한 꿈을 현실로 옮긴 오랜 기다림의 결실이다. 두선재는 본채와 별채로 구성돼 있으며, 전체적으로 현대적이면서도 따뜻한 전원주택의 분위기를 담고자 했다. 도시와 조금 떨어진 전원주택 단지에 위치하다 보니 자연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디자인,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공간 배치 그리고 건축주의 생활 방식과 취향이 반영됐다. 이런 디자인을 실현하고자 건축주와 함께 노력했고, 한참을 돌고 돌아서 편히 머무를 수 있는 집 ‘두선재’가 됐다.
진행 이형우 기자 | 글 자료 소하 건축사사무소 | 사진 최수영 작가
진행 이형우 기자 | 글 자료 소하 건축사사무소 | 사진 최수영 작가
HOUSE NOTE
DATA
위치 충북 청주시 오창읍
용도 단독주택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 기초,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762.00㎡(230.50평)
건축면적 152.35㎡(46.09평)
연면적 232.87㎡(70.44평)
1층 113.81㎡(34.43평), 부속동(음악감상실) 38.54㎡(11.66평)
2층 80.52㎡(24.36평)
건폐율 19.99%
용적률 30.56%
설계기간 2022년 11월 ~ 2024년 1월
시공기간 2024년 3월 ~ 8월
설계 소하건축사사무소
02-2038-4758 https://sohaa.co.kr
시공 HNH건설
1522-3723 https://withhnh.com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칼라강판(진회색)
외벽 - 유니크버건디토석
데크 - 고흥석 석재데크
내부마감 천장 - 친환경 수성페인트
내벽 - 친환경 수성페인트
바닥 - 포세린타일, 원목마루
단열재 지붕 - 셀룰로오스단열재 가등급
외벽 - 셀룰로오스단열재 가등급
창호 레하우
현관문 커넬시스텍
주방기구 현대리바트
위생기구 아메리칸스텐다드
DATA
위치 충북 청주시 오창읍
용도 단독주택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 기초, 경량 목구조
대지면적 762.00㎡(230.50평)
건축면적 152.35㎡(46.09평)
연면적 232.87㎡(70.44평)
1층 113.81㎡(34.43평), 부속동(음악감상실) 38.54㎡(11.66평)
2층 80.52㎡(24.36평)
건폐율 19.99%
용적률 30.56%
설계기간 2022년 11월 ~ 2024년 1월
시공기간 2024년 3월 ~ 8월
설계 소하건축사사무소
02-2038-4758 https://sohaa.co.kr
시공 HNH건설
1522-3723 https://withhnh.com
MATERIAL
외부마감 지붕 - 칼라강판(진회색)
외벽 - 유니크버건디토석
데크 - 고흥석 석재데크
내부마감 천장 - 친환경 수성페인트
내벽 - 친환경 수성페인트
바닥 - 포세린타일, 원목마루
단열재 지붕 - 셀룰로오스단열재 가등급
외벽 - 셀룰로오스단열재 가등급
창호 레하우
현관문 커넬시스텍
주방기구 현대리바트
위생기구 아메리칸스텐다드
자연으로 돌아와 머무르는 집
두선재는 주택 이름에서도 느껴지듯 ‘자연으로 돌아와 머무르는 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건축주가 꿈꿔 온 이상적인 전원주택으로, 자연과의 조화와 기능적 실용성으로 풀어낸 결과이다.
주택은 산과 저수지가 펼쳐진 오창의 전원주택 단지에 위치하며, 건축주는 가족과 함께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삶을 보내기를 원했다. 이를 위해 집은 전체적으로 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모던한 느낌을 더해 전형적인 전원주택과는 차별화된 느낌을 주려 했다.
두선재는 주택 이름에서도 느껴지듯 ‘자연으로 돌아와 머무르는 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건축주가 꿈꿔 온 이상적인 전원주택으로, 자연과의 조화와 기능적 실용성으로 풀어낸 결과이다.
주택은 산과 저수지가 펼쳐진 오창의 전원주택 단지에 위치하며, 건축주는 가족과 함께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삶을 보내기를 원했다. 이를 위해 집은 전체적으로 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모던한 느낌을 더해 전형적인 전원주택과는 차별화된 느낌을 주려 했다.
‘개방감’과 ‘프라이버시’ 강조
두선재는 ‘개방감’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이 주택은 대지가 진입 도로보다 높아서 외부에서 쉽게 내부가 보이지 않는 이점이 있고, 조적 담장을 둘러 프라이버시를 더 확보했다. 그럼에도 어긋난 배치와 개방감을 높인 창을 통해 주변 풍경을 최대한 집 안으로 끌어들이며 개방감을 더한다.
건물은 본채와 별채로 구성돼 있다. 본채에는 거실과 주방, 침실을 포함한 주요 생활공간이 배치돼 있다. 별채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며, 손님을 맞이하거나 음악을 듣는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본채와 별채는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해 서로의 공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할 때 쉽게 오갈 수 있도록 동선을 구성했다.
두선재는 ‘개방감’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이 주택은 대지가 진입 도로보다 높아서 외부에서 쉽게 내부가 보이지 않는 이점이 있고, 조적 담장을 둘러 프라이버시를 더 확보했다. 그럼에도 어긋난 배치와 개방감을 높인 창을 통해 주변 풍경을 최대한 집 안으로 끌어들이며 개방감을 더한다.
건물은 본채와 별채로 구성돼 있다. 본채에는 거실과 주방, 침실을 포함한 주요 생활공간이 배치돼 있다. 별채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며, 손님을 맞이하거나 음악을 듣는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본채와 별채는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해 서로의 공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할 때 쉽게 오갈 수 있도록 동선을 구성했다.
가족의 취향을 반영한 실내공간 구성
도로에서 주차장을 지나 마당 레벨로 들어서면 서측의 인접 대지를 면한 곳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펼쳐진다. 본채 전면에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잔디로 된 마당이 있고, 동측 인접 대지에는 데크가 자리하고 있다.
본채는 2층 구조로 지어졌다. 1층에는 거실, 서재, 주방, 다이닝룸 등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용 공간이 배치돼 있다. 거실은 넓은 창을 통해 외부 마당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높은 층고와 넓은 공간감을 살려 시선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주방과 다이닝룸은 거실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가족이 함께 요리하고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구조다.
도로에서 주차장을 지나 마당 레벨로 들어서면 서측의 인접 대지를 면한 곳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펼쳐진다. 본채 전면에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잔디로 된 마당이 있고, 동측 인접 대지에는 데크가 자리하고 있다.
본채는 2층 구조로 지어졌다. 1층에는 거실, 서재, 주방, 다이닝룸 등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용 공간이 배치돼 있다. 거실은 넓은 창을 통해 외부 마당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높은 층고와 넓은 공간감을 살려 시선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주방과 다이닝룸은 거실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가족이 함께 요리하고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구조다.
2층에는 건축주의 취향을 반영한 안방과 자녀방이 자리하고 있다. 안방은 개인의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조용하고 아늑하게 디자인했다. 자녀방은 가끔 오는 자녀를 위한 공간이자 평소에는 건축주 부부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으로, 창밖의 전경을 바라보며 자연과 함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별채는 화장실이 딸린 단층이며, 주로 음악 감상과 개인 서재 등의 취미활동 공간이다. 손님을 위한 게스트룸으로 쓰일 수도 있다.
독창적 인상 창출한 입면 디자인
건물 외관은 붉은 벽돌을 주재료로 하여 전통적인 매력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했다. 붉은 벽돌은 내구성이 강하고 한국의 기후와 지형에 잘 어울리는 재료로, 시간이 지나도 자연스럽게 경관에 녹아들 수 있다. 또한, 벽돌의 질감은 밤의 조명과 어우러져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입면의 디자인은 단조롭지 않도록 창문 크기와 위치를 다르게 배치해 리듬감을 줬다. 아울러 두 개의 매스를 약간 어긋난 형태로 배치시켰다. 이러한 비대칭 배치는 실내에서도 다양한 각도로 외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단지 내에서 독창적인 인상을 갖게 해준다.
건물 외관은 붉은 벽돌을 주재료로 하여 전통적인 매력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했다. 붉은 벽돌은 내구성이 강하고 한국의 기후와 지형에 잘 어울리는 재료로, 시간이 지나도 자연스럽게 경관에 녹아들 수 있다. 또한, 벽돌의 질감은 밤의 조명과 어우러져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입면의 디자인은 단조롭지 않도록 창문 크기와 위치를 다르게 배치해 리듬감을 줬다. 아울러 두 개의 매스를 약간 어긋난 형태로 배치시켰다. 이러한 비대칭 배치는 실내에서도 다양한 각도로 외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단지 내에서 독창적인 인상을 갖게 해준다.
우드 톤 마감으로 편안함 강조
인테리어는 밝은 공간에 우드 톤과 중성 톤의 마감재를 사용해 편안함을 강조했다. 본채는 화이트 톤의 내부 공간에 내추럴한 우드 톤을 포인트로 사용하고, 별채는 세로골판 목재와 자작나무합판의 투톤으로 나무가 중심이 되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인테리어는 밝은 공간에 우드 톤과 중성 톤의 마감재를 사용해 편안함을 강조했다. 본채는 화이트 톤의 내부 공간에 내추럴한 우드 톤을 포인트로 사용하고, 별채는 세로골판 목재와 자작나무합판의 투톤으로 나무가 중심이 되는 분위기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