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다세대주택

조회 2,1812023. 12. 6. 수정

해달집

건축주가 어릴 때 할아버지와 함께 살던 성남 수정구 태평동 대지. 아들은 가족을 설득해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동주택을 만들고자 했다.

건축가는 주변 환경에 특화된 주거 타입, 일조 사선으로 손실되는 면적을 건축적으로 풀어내는 데 주력했다. 전면 구조와 모듈을 기준으로 후면 집의 조합에 따라 전면 세대의 깊이를 조정하고, 후면 세대는 정북 사선을 이용해 테라스가 있는 복층형, 단층 스튜디오형으로 디자인해 지상 2~5층에 6개 임대세대를 배치했다.

대지 특성상 전면에서 1층으로 인지되는 지하는 6미터의 층고와 전면 창으로 채광이 충분하고, 지상 1층 주차장은 대지의 서측에서 출입해 전면부에선 다른 층과 동일한 입면을 가진다.

옛집에 대한 기억이 재료와 형태의 영감이 되었다. 덕분에 빨간 벽돌과 돌담의 질감을 은유해 회색 스터코로 마감한 입면은 주변 건물과도 융화된다. 특히 5층 테라스는 벽돌로 둘러싸인 처마의 느낌을 주고자 했고, 거실의 아치 창은 대청에 누워 별을 보던 기억을 환기한다.

구도심인 성남 수정구 태평동 주변은 개발 등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곳이다. 대지는 클라이언트가 어릴 때 할아버지와 함께 살던 집으로 1970년에 신축한 넓은 마당을 가진 주택이 있었고, 이후 마당을 증축하여 최근까지 어린이집으로 사용해왔다.

△ 기존 집이 있던 대지의 모습
△ 기존 집 스케치

가족을 설득해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동주택을 만들고자 했던 건축주는 1층에 근린생활시설을 둔 다가구주택을 고려했으나 공사비용, 인근 아파트의 주거비용이 상승하면서 한 층 더 높인 다세대주택으로 변경했다. 최종적으로 경사지를 활용해 지하 1층은 근린생활시설, 지상 1층은 주차장, 지상 2~5층은 다세대주택으로 구성된 건축물이 완성됐다.

디자인의 출발은 건축주가 할아버지와 함께 살던 옛집으로 빨간 벽돌집과 돌담, 할머니와 얘기하던 대청, 처마 공간이 시그니처이자 디자인 모티브가 되었다. 외부 입면과 형태 디자인은 빨간 벽돌과 돌담의 질감을 의미하는 회색 스터코를 사용했다.

건축가는 주변 아파트로 유입될 젊은 세대를 타깃으로 특화된 주거 타입을 만들고, 일조사선 때문에 손실되는 북측 면적을 건축적 아이디어로 해결해야 했다.

△ 디자인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지상 1층 주차장은 대지의 서측 이면도로에서 출입해 정면에서 다른 층과 일관된 모습을 보인다.

△ 주차장과 출입구

지하는 사진 스튜디오 혹은 인상적인 공간구성이 필요한 카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6미터 층고의 근린생활시설이다. 지하지만 대지 특성상 전면 도로에서 1층과 같이 인지되는 곳으로 높은 층고에 전면 창까지 더해 채광이 충분하다.

△ 지하 1층 근린생활시설

검은색 톤의 마감을 원했던 건축주의 제안을 수용해 진회색 타일과 페인트로 마감한 내부 공용 공간은 층마다 세대 구성을 다양하게 조합한 개방적 공간으로, 외부 곡면 디자인을 난간에도 적용했다.

△ 공용부 계단실
△ 공용부 계단실

일조사선으로 줄어드는 면적을 상쇄하고자 각 세대에 장점을 부여한 건축가. 전면에 위치한 4세대는 아파트의 장점을 반영한 평면 계획으로 남향으로 배치한 거실과 침실 덕에 밝은 공간이다.

후면의 2세대도 남서 측을 주향으로 계획하고 후면 테라스 측에 전면 창을 두어 채광과 조망이 충분하다. 1세대는 2m 정도 길이의 넓은 테라스가 있는 단층 스튜디오 타입이며, 다른 1세대는 복층으로 거실, 침실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매력을 가진 6개의 주거 공간이 탄생했다.

△ 2층 주거 공간
△ 2층 주거 공간
△ 2층 주거 공간
△ 3층 복층형 주거 공간
△ 3층 복층형 주거 공간
△ 3층 주거 공간
△ 3층 주거 공간

5층 테라스는 벽돌로 둘러싸인 처마 공간, 거실의 아치 창은 대청에 누워 할머니와 별을 보던 기억을 환기한다.

△ 5층 거실의 아치 창
△ 5층 주거 공간
△ 5층 주거 공간
△ 5층 다락
△ 5층 테라스
△ 5층 테라스의 아치 디테일
△ 5층 북측 테라스

해달집은 각 층, 세대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전면 후면 채광과 조망이 훌륭한 집이다. 또한 실제 평수는 20평이더라도 9평이 넘는 테라스, 팬트리, 수납장 덕에 30평집과 같은 면적을 사용할 수 있다. 건축가는 입주자들이 이곳을 넓고 밝은 집,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집, 각양각색의 사람이 살아가는 집으로 여기며 넓고 시원하고 조망 좋은 공용 공간에서 이웃끼리 웃으며 만나는 집이 되길 바랐다.

건축개요

위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용도: 다세대주택, 근린생활시설
규모:
지하 1층, 지상 5층
대지면적:
357.4㎡ (108.11py)
건축면적:
204.27㎡ (61.79py)
연면적:
769.06㎡ (232.64py)
건폐율:
59.00%
용적률:
165.63%
구조:
철근콘크리트
사진:
노경
시공:
시네마건설㈜
설계:
갓고다 건축사사무소 / 070-4755-2800

──
에이플래폼
대한민국 건축가가 전하는 건축이야기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