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지하철 무임 승차 덕에 큰 뜻밖의 상권
부활하는 대학가
대학가 상권이 살아나고 있다. 비대면 수업 등으로 위축됐던 팬데믹 시기가 지나고 학생들이 돌아왔기 때문이다. 고령층도 몰리고 있다고 한다. 대학가 상권의 최근 모습을 알아봤다.
KB국민카드는 최근 서울·경기·인천 권역의 대학교 이름이 들어간 지하철역 21곳의 반경 500m 내 가맹점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올해 3월 매출액은 2020~2022년 3월 평균보다 22% 증가했다. 특히 대학에 갓 들어왔거나 얼마 되지 않은 20~21세 연령대의 올해 3월 매출액은 3년 전 같은 기간보다 72% 급증했다.
상권 별로 2020~2022년 3월 평균과 올해 3월을 비교하면 수원 성균관대역(36%↑), 숙대입구역·숭실대입구역(33%↑) 등에서 크게 늘었다. 주점 매출액이 증가세를 이끌었다는 게 KB국민카드 설명이다. 성균관대역 인근 주점의 경우 올해 3월 20~21세 매출액은 2020년 3월에 비해 3배 가까이(190%↑)로 늘었다.
고령층의 지하철 이동 증가가 대학가 상권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도 있다. 올해 3월 60대 이상의 대학가 매출액은 3년 전보다 93%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렴한 소비처를 찾아 대학가로 오는 고령층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대학가 상권의 업종별 매출액 비중은 음식점(46%)이 가장 높았고 패션·뷰티(13%), 카페·디저트(11%), 편의점과 주점(각10%) 순이었다.
작년 3월 평균과 비교한 올해 3월 매출액 증가율은 주점(49%↑)이 가장 높았다. 개강을 맞아 대학가 술자리 등 단체 모임이 활성화됐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음식점과 카페·디저트, 패션·뷰티 업종 매출액은 각각 27%, 18%, 9% 증가했다.
대학가별로 주력 업종은 달랐다. 교대역 상권에서 매출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음식점(62%)이었다. 홍대입구역은 다른 상권보다 패션·뷰티(25%) 매출액 비율이 높은 편이었고, 숙대입구역은 카페·디저트(15%) 비율이 높았다. 건대입구역 상권은 주점(18%)이 가장 많았다.
올해 3월 매출액 기준으로 가장 큰 대학가 상권은 홍대입구역으로, 대학 이름이 붙은 21개 지하철역 상권 전체 매출의 18%를 차지했다. 이어서 건대입구, 서울대입구, 성신여대입구, 교대역 순으로 나타났다.
/유소연 객원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