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만에 소형모듈원전 개발 나서는 '탈원전 1호국' 이탈리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호 탈원전' 국가였던 이탈리아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며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탈리아 정부가 SMR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이탈리아 안사(ANSA) 통신, 영국 블룸버그통신 등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재 이탈리아 정부가 SMR 개발을 위해 자국 에너지 업체인 안살도 뉴클레아레와 에넬, 영국 원자력 기술 회사인 뉴클레오 등과 초기 협상 중이라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호 탈원전’ 국가였던 이탈리아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며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탈리아 정부가 SMR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이탈리아 안사(ANSA) 통신, 영국 블룸버그통신 등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돌포 우르소 산업부 장관은 이날 북부 체르노비오에서 열린 암브로세티 경제 포럼에서 "외국과 기술 협력을 통해 새로운 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라면서 "조만간 이탈리아에서 첨단 원자력 발전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SMR은 발전용량이 기존 기가와트(GW)급 상용원자로와 대비되는 300메가와트(MWe) 이하의 원자로다. 규모가 작기 때문에 건설기간이 짧으며 기존 원자로와 비교했을 때 필요한 부대설비도 적다.
주요 장점은 안전성이다. 배관이 없는 SMR은 배관이 파열되는 등의 중대사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 핵분열 연쇄반응으로 발생한 열을 식히는 노심냉각에 자연현상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원자로와 비교했을 때 건설 기간이 짧고 필요한 장비가 적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원자로로 여겨진다.
이탈리아의 원전 도입은 35년 만이다.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원전 4기의 가동을 중단했다. 다음해인 1987년 국민투표 끝에 세계 최초로 탈원전을 결정하고 선언했다. 1990년 마지막 원자로를 폐쇄했다.
이탈리아 원전 재도입은 2010년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 시절 다시 추진됐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여파로 국민투표에서 반대 의견이 90%를 넘겨 무산됐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불거진 에너지 수급 위기를 겪은 이후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원전을 다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결국 지난 7월 길베르토 피케토 프라틴 환경에너지부 장관은 “2050년까지 국가 전체 전력 소비량의 11% 이상을 원전이 담당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탈' 탈원전을 선언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현재 이탈리아 정부가 SMR 개발을 위해 자국 에너지 업체인 안살도 뉴클레아레와 에넬, 영국 원자력 기술 회사인 뉴클레오 등과 초기 협상 중이라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또 "이러한 움직임은 수십 년 동안 원자력 에너지를 금지해온 이탈리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라고 전했다.
현재 이탈리아는 SMR 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한 입법도 준비 중이다. 지난해 9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원자력을 위한 국가 플랫폼'의 첫 번째 회의에서 마테오 살비니 부총리 겸 인프라 교통부 장관은 "이탈리아는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며 "원자력을 통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생산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탈원전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폭증한 전력 수요를 기존 에너지 발전으로 따라가지 못하면서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고 있다. 8일 현지 언론인 '오렌지 카운티 레지스터'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남부 지역 전력회사인 서던캘리포니아에디슨(SCE)이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리버사이드, 샌버나디노 카운티에서 8840명의 고객에게 영향을 미친 66건의 정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2018년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45년까지 화력과 원자력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를 수급하는 로드맵을 세웠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전력 수급이 전력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고장을 자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