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해도 독자기술은 남는다”…한화 뚝심의 로켓 ‘천무’ 동남아 홀렸다는데

최현재 기자(aporia12@mk.co.kr) 2024. 10. 1. 08: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 다연장로켓 ‘천무’
말레이시아와 수출MOU 이어
9월 필리핀 전시회서도 호평
김승연·김동관 전폭적 지원에
기술·납기·가격 경쟁력 확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럽·중동에 도입된 국산 다연장로켓 ‘천무’를 앞세워 동남아시아 방산시장 공략에 나선다. 섬이 많은 역내 지형을 고려한 ‘지대함 요격’ 기능 강화로 해상 방어를 중요시하는 동남아 국가들의 수요를 공략한다는 목표다. 수출 영토가 넓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천무의 독자 개발과 수출 릴레이를 이끈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장남 김동관 부회장의 ‘기업가 정신’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27일 방산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정부는 과거 브라질에서 도입한 구형 다연장로켓 ‘애스트로스 II’ 36문을 교체하는 국방 현대화 전략을 추진중이다. 내년 2분기까지 각국 정부와 방산업체로부터 사업 제안서를 받을 예정이며, 2026년께 최종 사업자가 결정될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다연장로켓 ‘천무’를 앞세워 말레이시아의 다연장로켓 도입 사업을 따내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5월 말레이시아 방산 기업 ‘WBG’와 천무 수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데 이어 이달 25~27일 열린 필리핀 방산전시회 ‘ADAS 2024’에 참가해 천무 세일즈에 나섰다. 특히 이 전시회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섬이 많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지대함 요격이 가능한 천무 실물을 전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해상 방어 능력이 필요한 국가들을 위해 바다에서 이동하는 함정까지 맞출 수 있도록 정밀도를 개선한 모델”이라고 말했다. 천무의 말레이시아 수출이 성사될 경우 폴란드,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4번째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무가 유럽과 중동을 넘어 동남아 방산시장까지 넘보게 될 수 있었던 배경엔 독자 개발을 주장한 김승연 회장의 ‘뚝심’이 있었다. 국방부가 ‘K-136 구룡 다연장 로켓’을 대체하는 내용의 차기 군단급 화력무기체계 확보 계획을 발표한 직후인 2005년. 당시 한화 방산계열사의 경영진과 주요 임원들은 다연장로켓을 자체 개발하는 방안에 대해 회의적인 결론을 냈다. 방위사업청이 사업 규모와 투자비를 결정하고 방산업체가 개발을 맡는 기존 무기체계 개발 문법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업체가 먼저 사업비를 투자해 무기체계를 개발한 전례가 없는 상황에서 실패할 경우 수백 억원에 달하는 투자비가 고스란히 손실로 이어질 위험도 있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그러나 김승연 회장은 경영진에 “실패해도 좋다. 자주 국방을 위한 기술은 남을 것 아닌가”라며 업체 주도 개발을 밀어붙였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개발이 진행된 천무는 2014년 군 시험 평가까지 통과하며 한국 방산 역사상 최초로 업체가 주도해 개발한 무기체계가 됐다. 실패를 개의치 않고 독자 개발을 밀어붙인 김 회장의 기업가 정신이 천무 수출을 위한 발판이 된 셈이다.

김 회장의 뚝심은 장남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으로 이어졌다.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추진에 반대한 러시아가 군대를 동원해 우크라이나 국경을 위협할 무렵인 2021년 김 부회장은 그룹에 ‘유럽 시장조사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충돌시 유럽 내 무기체계 수요가 폭증할 것을 예견한 것이다. 유럽 전역에 임직원을 파견해 각국 군 당국과의 대화 채널을 구축하는 한편 현지 방산업체들의 생산 역량과 기술 동향을 수집했다.

김동관 부회장
김 부회장은 현지 방산업체들의 부족한 생산능력과 납기 경쟁력을 간파하고 꾸준히 유럽 국가들의 문을 두드렸다. 기술력과 빠른 납기, 가격 경쟁력 면에서 우위에 있는 한화의 무기체계라면 유럽 시장에서 충분히 통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당시엔 대담한 발상이었다. 유럽 국가들은 영국, 독일, 미국 등 주로 나토 국가들의 무기체계를 도입하는 경향이 있어서다

대를 이은 뚝심은 통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지 수개월만인 2022년 10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 정부와 천무 218문을 수출하는 약 5조원 규모의 1차 계약을 맺는데 성공했다. 올해 4월에는약 2조 5000억 원 규모로 천무 72문를 수출하는 2차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선제적인 시장 조사와 대응을 늦췄다면 수출 성과는 없었을 것”이라며 “국내시장에만 머물지 않고 자체 개발 무기체계로 해외로 진출해야한다는 판단이 적중한 사례”고 말했다.

한편 최근 김 부회장은 함정 수출 확대를 위한 현지 세일즈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김 부회장은 압둘라 빈 반다르 알 사우드 사우디 국가방위부 장관을 만나 협력 범위를 지상 방산 부문에서 함정 부문까지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최근 사우디는 김 부회장의 제안에 따라 자국 해군의 잠수함 획득 사업에 한화오션의 최신예 잠수함인 ‘장보고-III 배치-II’를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김 부회장은 폴란드의 잠수함 획득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를 목표로 지난해 폴란드 방산전시회에 직접 참석해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에 한화오션의 잠수함 역량을 적극 알렸다. 오르카 프로젝트는 폴란드 해군이 신형 잠수함 2~3척을 도입하는 사업이다. 규모만 약 3조 원 규모로 추정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