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사와의 오랜 갈등, 그리고 첫 시련
박효신은 연습생 시절부터 여러 기획사를 거치며 계약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데뷔 이후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2008년, 당시 소속사와의 갈등으로 15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에 휘말리게 되었고, 이 재판은 대법원까지 이어졌다.
그는 소속사의 무리한 스케줄 강행이 원인이었다고 맞섰지만, 결국 법정 이자까지 포함해 총 33억 원에 이르는 큰 금액을 떠안게 되었다.
법원 회생 절차까지… 깊었던 경제적 고통
소송에서 대법원은 15억을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으며 박효신은 채무변제를 목적으로 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하지만 회생절차 진행 도중 채권자들은 박효신이 낸 회생계획안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이어 회생절차는 중도에 종료되었다.
다행히 주변 지인들과 업계 관계자들의 도움으로 재정적인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고, 2014년에는 모든 채무를 완전히 청산하며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야생화’로 돌아오다… 음악으로 증명한 부활
긴 공백을 깨고 박효신은 2014년 정규 7집 앨범 ‘야생화’로 돌아왔다.
복귀곡은 뜨거운 반응을 얻었고, 온라인 음원 차트는 물론 음악 방송에서도 상위권을 휩쓸며 ‘박효신의 귀환’을 알렸다.
특히 ‘야생화’는 그의 진심이 고스란히 담긴 곡으로, 단일 곡 수익만 40억 원을 넘겼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허비그하로’ 대표이자 200억 자산가로 우뚝
경제적 시련을 이겨낸 박효신은 이후 더욱 탄탄한 길을 걸었다.
2022년 서울 한남동의 건물을 120억 원에, 2023년에는 같은 지역의 또 다른 건물을 83억 원에 현금으로 매입하며, 총 203억 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저작권 보호를 받는 본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지침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