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쇠톱과 해머 등장 '강경 진압'…"부끄러운 줄 알아라"

2024. 5. 2. 19: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미국에서 반전시위를 주도해온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한밤중에 전기 쇠톱과 해머를 동원한 경찰의 강제진압이 이뤄졌습니다. 부상자가 속출한 가운데, 시위대는 강경 진압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며 비난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최중락 특파원입니다.

【 기자 】 현지시각 지난달 30일 밤, 뉴욕 경찰이 컬럼비아 대학건물로 진입하자 반전 시위대가 문 앞에서 저항합니다.

"우리는 물러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쇠사슬로 잠긴 문을 전기 쇠톱으로 절단하고, 창문과 문을 부수면서 강제진압이 시작됐습니다.

경찰이 건물 안으로 들어서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6분 40초, 시위대는 당황해 바닥에 뒹굴며 물러납니다.

"바닥에 앉아. 앉아. 가만히 있어."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컬럼비아 대학에서 하루에만 230여 명이 연행되자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부끄러운 줄 알아라. 부끄러운 줄 알아라."

서부 UCLA 대학에서는 친팔레스타인과 친이스라엘 시위대가 둔기와 화약을 동원해 서로 공격하면서 피를 흘리는 부상자가 속출했습니다.

올해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강경 진압을 "아름다운 광경"이라고 치켜세웠고, 백악관은 폭력적인 시위에 소수 세력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카린 장피에르 / 백악관 대변인 - "문제를 일으키는 건 소수의 학생들입니다. 다수 학생들의 학업권을 침해하는 건 옳지 않습니다.

▶ 스탠딩 : 최중락 / 특파원 (워싱턴) - "미국 대학가 반전 시위는 1960년 말 베트남 전쟁 이후 최대 규모로 좀처럼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MBN 뉴스 최중락입니다."

영상촬영 : 윤양희 / 워싱턴 영상편집 : 이우주

#미 컬럼비아대 강제진압 #전기 쇠톱과 해머 등장 #백악관, 소수가 혼란 유발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