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청년타임스

인간 내면의 고립된 풍경, 김데이지 작가

<안현정의 아트픽> 안현정 미술평론가(예술철학박사, 성균관대 박물관 학예실장)가 추천하는 작가입니다.

자의식이 자괴감으로 발전하는 것은 희귀한 현상이 아니다. 개인의 무의식 중에 내재되어 있던 이상이 그에 미치지 못한 자신을 발견하고서 자괴감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취직한 친구의 연봉, 자수성가한 이의 성공담, 재능 있는 자의 결과물, 매력적인 외모의 사람들…… 대중매체는 이를 더욱 부각시키고, 실사의 나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 이로써 근육이 없는 사람처럼 흘러내리고, 정신은 무거운 육신을 벗어나고 싶다.

사람들의 시선과 판단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지만 그것은 일시적인 최면에 가까울 뿐, 사실은 물리적 시선의 출처와 비교대상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에서 벗어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를테면 의도치 않게 어긋난 것들, 해야 했지만 못했거나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했던 일들, 그로 인한 사후 가정적 감정들이 뇌를 가득 채워 끝내는 어떠한 행동도 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내재된 자의식은 자괴감이 되어 나의 탓으로, 다시 내 탓이 되어 어깨를 짓누른다.

그리하여 나의 작업은 막연한 확신에 그저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에 대한 애정과 연민에서 출발한다. 몸이 녹아 내리는 것 같은 좌절감, 알 수 없는 불안감, 박애와 슬픔이라는 모순된 감정들의 혼합이 어떠한 흔적을 남긴 것이다. 동시에 이것은 나를 향하던 내향적 시선이 타인에게 향하는 외향적 시선으로 확장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Sitting on grass

Conte on paper_153×114cm_2012

Tumble

Oil on canvas_91×117cm_2012

Distress

Pastel on Paper_76×56cm_2013

Weightlessness

Oil on canvas_60.5×72.5cm_2013

Camouflage Leaving the body

Pastel on paper_153×114cm_2015

군중 속 고독 (Solitude in Crowd)

Oil on canvas_130.5×60cm_2015

늪 (Swamp)

Pastel on paper_57×38cm_2015

Melting Mountain

Acrylic and Pastel on Canvas_130×135cm

무제

무제

무제

무제

무제

무제

Oil on canvas_2013

김데이지 작가


△ 개인전
2016년 <주룩주룩주룩>, 야작실, 서울
2015년 <자의식과 근육 없음>, 더 플롯 갤러리, 서울
2013년 석사 학위 청구전 <더 잘해야 했는데>, 갤러리 S101, 서울

△ 단체전 & 프로젝트
​2023~2024년 한국근대문학관 연간 청소년문학잡지 <빈칸>, 표지 디자인 및 발행위원
2023년 평방미터 단체전 <터잡기>, 스테이 위드 커피, 제주
2023년 평방미터 단체전 <자립>, 결 갤러리, 안성
2017년 경기문화예술교육 자율학습모임 기획사업 <시시하지만 즐거운 일>, 경기문화재단
2017년 행상인 저서 독립출판물 <우리의 점>, 글 참여
2017년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성북예술동: 예술길 프로젝트2>, 성북구 일대, 서울
2017년 평방미터 단체전 <살아남기>, 더 플롯 갤러리, 서울
2016년 해체중 단체전 <월간행사>, 서울
2015년 브리즈 아트 페어 <New Attitude>, 에이컴퍼니, 서울혁신파크, 서울
2014년 제 4회 공장미술제 <생산적인, 너무나 생산적인>,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2년 아트선재 라운지 프로젝트 #4 <광주비엔날레 뒤뜰 캠프 플래시백>, 아트 선재 센터, 서울
2012년 아시아프 <아시아 청년작가 미술축제>,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1년 제 1회 트위터 아트 페스티벌 <숲에서 새를 만나다>, 갤러리 숲, 서울
2009년 제 10회 대한민국여성미술대전 수상작가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

청년타임스 정수연 디렉터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