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Rich Museums
LA 속, 슈퍼 리치 미술관들
더 브로드 3층. 1950년대의 재스퍼 존스와 로버트 라우션버그, 사이 톰블리를 지나 1960년대의 로이 리히텐슈타인, 에드 루샤, 앤디 워홀, 장 미셸 바스키아, 데미안 허스트, 키스 해링에 이르렀을 때 바보 같아 보일 걸 알면서도 도슨트에게 질문을 던졌다. “이거 다 진짜 작품 맞는 거죠?” 내 헛소리의 의도를 간파한 그가 매끄럽게 이야기를 이어간다.
“더 브로드는 설립자인 일라이(Eli)와 이디스(Edythe) 브로드 부부가 반 세기에 걸쳐 수집한 2천여 점의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둘은 LA를 세계적인 예술 도시로 만들기 위해 물심양면으로 헌신했죠.” 더 브로드 홈페이지에는 브로드 부부가 렌초 피아노(Renzo Piano)에게 건축을 의뢰하고 혁혁한 현대미술 작품을 사들이는 데 6천만USD를 썼다고 안내한다. 826억 5천만원. 예술을 논할 때 돈 얘기를 운운하는 것이 딱히 고상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지만 도시를 예술로 부흥시키려는 원대한 뜻을 품은 억만장자의 방대한 컬렉션 앞에서 자본의 은총을 찬양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호가 천문학적인 기부금과 정성스럽게 수집한 컬렉션 기증으로 세운 미술관들은 LA의 예술 생태계를 풍요롭게 채웠다. 석유왕 폴 게티와 기업가 아르망 해머는 각각 게티 센터(Getty Center) & 게티 빌라(Getty Villa), 해머 뮤지엄(Hammer Museum)을 설립해 LA의 예술 신을 일으킨 대표적인 인물.
LA의 아트 랜드마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게티엔 연간 180만여 명의 방문자가 찾아 고흐, 세잔, 드가, 마네, 모네, 피카소 같은 쟁쟁한 예술가의 작품과 리처드 마이어의 건축, 로버트 어윈의 정원을 한 동선에서 감상하는 호사를 만끽한다. UCLA가 운영하는 해머 뮤지엄은 여성, 신인, 지역 예술가를 전폭 지원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으로 LA의 아트 스펙트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수치로 압도하는 미술관 중 으뜸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뮤지엄 오브 아트(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LACMA), 이하 라크마)다. 미국 서부에서 가장 큰 규모인 15만 점의 작품을 소장한 라크마는 1965년에 개관했지만 지속적인 개축과 신축, 진보적인 전시 큐레이션으로 젊음과 새로움을 갱신한다. 렌초 피아노가 개축한 레스닉 파빌리온(Resnick Pavilion)의 파사드와 마주하는 광장엔 1920~30년대 LA의 밤거리를 밝힌 가로등 202개로 만든 크리스 버든(Chris Burden)의 와 수많은 팬을 거느린 아이웨이웨이(Ai Weiwei)의 12간지 조각상 이 기념 사진을 남기려는 방문객들의 호위를 받으며 우뚝 서 있다.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가 설계해 유명세를 탄 신축 전시관은 올해 중 개관을 목표로 막바지 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루나 루나(Luna Luna)는 LA에 오기 전에 가장 기대했던 장소다. “장 미셸 바스키아의 그림으로 가득한 대관람차, 키스 해링이 만든 회전목마, 데이비드 호크니의 파빌리온, 살바도르 달리가 만든 미로를 만날 수 있는 놀이 공원”이라는 소개말에 혹하지 않을 이가 있을까? 1987년 오스트리아 예술가이자 작가, 팝스타인 안드레 헬러가 친구들과 함께 만든 이 테마파크는 자금난, 소유권 등 복잡한 문제로 개장 13주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잊혀진 작품을 세상 밖으로 다시 꺼낸 구원자는 힙합 뮤지션 드레이크(Drake). 5월 12일을 마지막으로 LA를 떠나는 이곳에서 달리가 치밀하게 설계한 미로 ‘거울의 방’과 호크니가 만든 ‘마법의 나무 숲’같은 공간을 부지런히 들락이며 미련과 흥분으로 뒤엉킨 시간을 보냈다. 루나 루나는 사라지지만, LA의 돈 많은 예술 애호가들이 만든 뮤지엄들은 쌓이는 기부금, 기증작과 함께 날로 번창하고 있다.
Copyright © hye!TRA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