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7C2216편의 추락 사고는 2020년대 발생한 항공사고 중 최악의 참사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며, 이는 한국인 사망자 수 기준 항공사고 역사상 최다를 기록했으며, 전 세계 항공사고 인명 피해 규모 중 37위에 해당합니다.
제주항공 참사 타임라인: 참담한 사고의 전말
이번 사고는 단순히 조류 충돌에 의한 사고가 아니라, 복합적인 문제가 얽힌 대형 참사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복합적인 사고 원인
기장의 실수 가능성? 최선을 다한 비상 조치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사고 원인으로 기장의 실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사에 따르면, 사고 당시 기장은 오랜 경력을 가진 베테랑이었으며, 사고기를 운항한 2명의 조종사는 기장의 경우 6823시간, 부기장의 경우 1650시간의 비행 경력이 있었다고 전해졌습니다. 각각 2019년 3월, 2023년 2월부터 현 직책을 맡아 B737-800 기종만 6096시간, 1339시간을 운항한 것으로도 나타났습니다.
제주항공 측은 이날 오후 무안공항에서 브리핑을 열어 "무리한 운항은 없었다. 계획된 일정에 맞춰 항공기 정비 등을 철저히 하고 있고 출발 전후 꼼꼼하게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며 정비 불량이나 무리한 운항으로 인한 사고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기까지는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고로 인해 사망한 제주항공의 기장과 부기장은 그 순간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이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는 상황에서도 최후의 수단인 리버스 트러스트(역추진 장치)를 최대한 활용해 기체의 속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며, 조향 불가 상황에서 민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활주로 끝자락 외벽으로 기수를 조정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는 경험과 판단력이 없었다면 어려운 결정으로, 기장이 비상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예견된 참사라고 자꾸 말 나오는 이유
사고 직후, 제주항공 직원들이 익명으로 정비 환경의 열악함을 폭로하며 이번 참사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했습니다. 정비사 A 씨는 "요즘 항공기 엔진 결함이 빈번하다. 언제 사고가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정비사 B 씨는 "정비사들은 13~14시간씩 일하며 휴식 시간이 거의 없다"며 "이런 상태에서 정비된 비행기가 운항에 나서는 현실"을 비판했습니다.
한 직원은 올해 초 '제주항공 타지 마라'라는 글을 익명 커뮤니티에 올리며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이 같은 증언은 정비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다시 주목받는 '비행 거부' 기장의 사례
이번 사고와 관련해 과거 항공사의 기체 결함 문제를 지적하며 비행을 거부했던 기장의 사례도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바로 2023년 티웨이항공 기장 사건인데요. 티웨이항공의 기장 A 씨는 베트남 나트랑 공항에서 브레이크 패드 마모 상태를 확인한 후, 회사에 브레이크 교체를 요구하며 비행을 거부했습니다. 당시 항공사의 운항기술공시에 따르면 브레이크 인디케이터 핀이 1mm 이하로 남을 경우 교체해야 했으나, 실제 길이는 0.8mm였습니다.
회사는 안전상 문제가 없다며 비행을 요구했지만, 기장은 끝내 비운항을 결정했고, 이로 인해 15시간의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A 씨는 승객 불편을 이유로 5개월 정직 처분을 받았으며, 이는 조종 자격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징계였습니다. 이 사건은 항공사의 비용 절감 우선 정책이 조종사의 판단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이번 제주항공 사고와 맞물리며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중과 전문가의 반응
이번 사고와 관련된 온라인 반응에서도 항공사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의 의미
이번 사고는 항공 안전 관리 체계의 문제와 개선의 필요성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정비 환경의 개선, 조종사 판단권 존중, 그리고 안전 규정 강화가 항공사와 정부의 우선 과제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항공 운항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Copyright © 본 저작권은 인사픽뷰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