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에는 신념을 가진 자가 승리한다
리더의 그릇의 크기는 신념의 깊이,강도, 지속력으로 결정된다
“왜 잡스에게 욕을 먹어가며 일하느냐? 당신이라면 다른 곳에서 존경받으며 일할 수 있을 텐데요?” 애플의 스티브 잡스와 함께 일했던 한 직원의 대답이 기억에 남는다. “잡스와 이야기할 때면 마음이 출렁입니다. 흥분되고,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 같고, 그 주역이 될 것처럼 느껴집니다.”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꿈을 꾸게 하고, 배우게 하며, 일하게 하고, 성취하게 하는 존재다. 강요로는 결코 영감을 줄 수 없다. 영감은 세상의 문제를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 고된 과정 속에서도 끝까지 감당하려는 용기, 그리고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에서 나온다.
‘우리의 서비스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을까?’ 이런 신념 없이는 창업의 길을 끝까지 가기란 쉽지 않다. 세상에 맞서 자신의 신념을 실현하려는 의지, 리더의 그릇은 바로 그 신념의 깊이와 강도, 그리고 지속력으로 결정된다.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견뎌내는 힘)
‘죽도록 일만 하다가 끝나면 어떡하지?’
‘내 노하우는 빠져나가는데, 정당한 보상이 없다면?’
창업자의 길에는 불확실성과 모호함이 상존한다. 직장인에게는 일정한 월급이 보장되지만, 창업자는 일이 반드시 성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창업자는 모호함 속에서도 길을 찾아야 하고, 불확실성의 무게를 감내할 수 있어야 한다.
리더는 본질적으로 선택의 연속에 서 있다. 자금, 시간, 그리고 자신의 인생을 무엇에 투자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모든 투자는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무언가를 포기해야만 한다. 보장받은 투자란 존재하지 않는다. 미래는 그것이 뚜렷해지기 전에 그 가능성을 미리 보는 사람에게만 열린다. 불확실성을 견뎌내는 능력, 이것은 자신이 내린 결정과 선택에 대한 자기확신에서 생긴다.
("성공하고 싶다" VS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
‘성공하고 싶다’는 리더와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리더는 그 본질이 다르다. 전자는 사람들의 주목을 바라고, 후자는 고독한 시간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전자는 명성과 지위를 중시하지만, 후자는 세상의 고민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보람을 찾는다.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리더는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덜 흔들린다. 결국에는 성취한다.
(What보다 How에 집중하라)
구글의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창업했을 당시에 야후, 스냅, 알타비스타 등 검색 엔진은 이미 다수 존재했고, 페이스북 창업자 저커버그가 시작할 때도 마이스페이스는 강력한 플랫폼이었다. 레이 크록이 맥도날드를 인수했을 때에도 많은 햄버그 가게는 존재했다.
멋진 아이디어가 떠올라 인터넷이나 앱스토어에서 검색하면 이미 누군가 하고 있다. 우리는 보통 누군가 하고 있다면 더 이상 아이디어를 숙성시키지 않는다. 극복하지 못할 장애물처럼 여긴다. 경쟁이란 사업의 주요항목이다. 중요한 것은 ‘더 잘할 수 있는가’,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가’다.
대부분의 성공적인 사업들은 엄청난 아이디어로 시작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미 존재하는 시장에서 빈틈을 발견하고 그 욕구를 충족시켜 더 나은 가치를 제공했다. 혁신은 그저 멋진 아이디어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디어를 더 나은 방식으로 숙성시키는 데 있다.
(가장 귀찮고 어려운 일을 가장 먼저)
사람들은 헌신하지 않는 리더를 따르지 않는다. 구성원들에게 단지 독려만 한다면 실행에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리더는 누구보다 먼저, 가장 귀찮고 어려운 일을 맡는 사람이어야 한다. 리더가 구성원과 고객을 진심으로 대하며, 가장 손이 가지 않는 일을 항상 앞장서서 한다면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리더를 따르게 된다. 리더에 대한 존경,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권력과 자금은 그 자체로는 존경을 받지 못한다. 존경받는 리더가 되려면 이러한 외형적인 요소를 다루는 태도와 신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말을 걸어오지 않는다면 적신호)
SNS로 모든 것이 연결된 시대다. 소통은 필수적인 역량이다. 리더는 늘 구성원과 고객의 목소리를 들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자신에게 다가올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직원이나 고객이 어느 순간부터 말을 걸어오지 않는다면 적신호다. 벽이 생긴 것이다. 이를 간과한다면 조직은 점점 역행하게 된다.
(똑똑함뿐만 아니라 진정성도 함께 갖춰야)
많은 리더들은 지식과 똑똑함에만 치중한다. 하지만 진정한 리더십은 지식과 사랑, 이성과 감성의 조화에서 비롯된다. 뛰어난 리더는 차가운 이성으로 조직을 이끌면서도 진정으로 구성원을 아낀다. 그들은 구성원을 사랑하지만, 또 조직철학에 부합하지 않으면 해고도 한다.
인간에 대한 사랑과 합리적인 지식이 바탕이 됐을 때 진짜 힘이 발휘된다.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훌륭한 삶이란 사랑에 의해 고무되고 지식에 의해 인도되는 삶”이라 했다. 리더는 뜨거운 신념을 가슴에 품은 채, 차가운 진실의 진화도 냉철하게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
돈을 많이 번 장사꾼은 많지만, 존경받는 리더는 많지 않다. 위와 같은 고리타분한 말들이 신념이 되어 뼛속에 새겨지고 핏속에 흘러야 세상은 감동하고 움직인다.
*본 기사는 사례뉴스 필진기자 미세영역연구소 정강민 대표가 쓴 칼럼입니다. 정강민 대표는 ‘감동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왜 당신은 자살하지 않는가?’ ‘왜 같은 일을 하는데 누구는 성공하고 누구는 실패하는가?’ 등 세상의 본질을 깨우치고 싶어 읽고 쓰며 경영의 본질과 책 쓰기, 독서법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위대한 기업은 한 문장을 실천했다>‘<스타트업에 미쳐라>’ ‘<탁 대표는 처참한 실패 후, 7개월 만에 어떻게 승승장구했을까?’> ‘<혼란스러움을 간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