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요리사 인기 ‘낙수효과’는 허상···자영업자 기대감 ‘물거품’

오동욱 기자 2024. 10. 15. 06: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인근 가게들이 지난 13일 폐업·임대 등을 이유로 문을 닫은 모습. 오동욱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예능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요식업을 향한 관심이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이런 인기가 고물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요식업·자영업자들에게 온기를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감이 있지만 현실은 여전히 절벽 같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요식업·자영업자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매일 분투하지만 소비자들의 얇아진 지갑과 치솟는 물가 사이에 끼어 옴짝달싹 못하고 있다.

경향신문이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만난 서울 도심의 요식업·자영업자들은 <흑백요리사> 흥행에 따른 영향에 대해 “체감하지 못한다”고 입을 모았다. <흑백요리사>가 큰 인기를 끌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출연 셰프들이 운영하는 식당 목록·위치가 공유되는 등 폭발적인 호응이 일고 있다. 이렇게 주목받은 한 식당의 평균 예약률은 148% 증가하며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흑백요리사 인기가 요식업을 살린다’ ‘외식업계 활력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 등의 언론 보도도 이어졌다.

온기와 활력은 극소수의 차지였다. <흑백요리사> 출연 셰프의 식당이 많이 있는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일대는 지난 주말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 한산했다. 김모씨(40)의 레스토랑은 한때 주말 저녁 예약이 꽉 찼지만, 이날은 테이블 15개 중 2개만 손님이 있었다. 김씨는 “소비자가 원하는 건 <흑백요리사>에 나온 식당을 찾아가는 특별한 경험 자체”라며 “나머지 식당에선 매출 증가 효과가 없다”고 말했다. 이 거리에서는 폐업한 업장, 임대 안내 글이 붙은 매장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김씨는 “카페거리는 물론이고, 한 블록 옆 레스토랑들도 폐업하는 곳이 많다”고 했다.

식당 주인들은 요식업 위축의 원인으로 중산층 소비자의 ‘얇아진 지갑’을 꼽았다. <흑백요리사>가 불을 붙인 건 ‘고급요리·파인다이닝’에 대한 관심이다. 일상 소비는 ‘가성비’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소갈비집을 하는 방모씨(38)는 <흑백요리사> 출연 업장과 자신의 업장을 비교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잘 되는 곳은 더 잘 되고, 평범한 곳은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여기는 주머니 사정 때문에 매출 자체가 20~30% 정도 떨어졌다”고 말했다.

소비 위축은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 전망치는 2022년 3분기(95.23) 이후 꾸준히 하락해 올해 3분기엔 83.12까지 떨어졌다. 높은 식자재 물가도 부담을 키운다. 서울 성동구에서 일식집을 운영하는 임모씨(43)는 “상추·광어 등의 비용이 점점 늘어 매출 대비 45%에 이른다”고 말했다. 경양식 식당 점장 김한국씨(25)는 “토마토 가격이 너무 올라 지역 농부와 직접 거래했다”고 했다. 농산물유통종합정보시스템(aT)을 보면 14일 기준 서울 가락시장에서 토마토는 이달 평균 10㎏에 8만2162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3만335원에 비해 3배 가까이 올랐다.

음식 가격을 올리거나 식자재 품질을 낮출 수도 없다. 고깃집을 운영하는 정모씨(39)는 “소비자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가격 인상”이라고 했다. 임씨는 “사람들의 눈높이가 높아져 싼 식자재를 사용해 품질이 떨어지면 다신 돌아오지 않는다”고 했다. 결국 소비자 구매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울 용산구의 한 식당 사장 최모씨(61)는 “다들 대출 빚에 허덕이는 형편”이라며 “결국은 돈을 풀어야 뭘 사 먹지 않겠나”고 했다.


☞ 서울 비빔밥 한 그릇 1만1000원 넘었다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410132018035


☞ 연내 추가 금리인하는 없다···내년 금리 ‘언제’ ‘얼마나’ 내려갈까
     https://www.khan.co.kr/economy/finance/article/202410131606001

오동욱 기자 5do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