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배민 쓸래"…사장님들 분노에도 소비자는 공감 제로, 왜?

최우영 기자 2024. 10. 8.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1일 서울 시내 한 음식점에 배달 어플 배달의민족 제휴 안내 홍보물이 부착돼 있다. /사진=뉴시스
최근 배달의민족(배민) 등 배달앱 중개수수료 문제를 거론하며 일부 프랜차이즈 외식업주들이 '배민 보이콧' 움직임마저 보인다. 하지만 정작 프랜차이즈 자체 배달앱을 사용하면 전문 배달앱에 비해 배달 속도가 느려지는 것은 물론 음식 가격이 더 비싸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이미 강력하게 형성된 배달앱과 소비자의 연결고리를 끊어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치킨 프랜차이즈 점주들의 '배민 반대'
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BBQ 등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의 가맹점주 단체에서 배민 보이콧을 추진하기로 했다. 배민이 최근 중개수수료율을 6.8%에서 9.8%로 올린 데 더해 무료배달비를 점주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배민의 대안으로 프랜차이즈 자체 앱 또는 공공배달앱을 통한 주문을 독려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이 실제 '배민으로부터의 독립'으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우선 배민의 시장점유율이 60%를 넘는다. 배민을 사용하지 않으면 배달주문 자체가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공공배달앱이나 치킨 브랜드 자체 배달앱의 낮은 인지도와 이용률 역시 문제다. 이미 주요 배달앱에 익숙해진 소비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운 과정을 감수하느니, 배민에 입점한 다른 '대체제' 치킨을 찾을 가능성이 크다.

점주 단체의 결정을 각 가맹점주들이 따를지도 미지수다. 서울의 한 치킨 프랜차이즈 점주는 "배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달 주문이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며 "점주협의회에서도 진짜 배민을 거부한다기보다, 최근 수수료율 협상을 하면서 하나의 '카드'로 배민 보이콧을 언급한 게 아닐까 싶다"고 바라봤다.
배민 보이콧, 오히려 소비자가 피해 본다
(왼쪽)배달의민족 앱을 통해 한 프랜차이즈 치킨 순살 반반 메뉴를 시킨 가격. (오른쪽) 같은 메뉴를 치킨 프랜차이즈 자체 배달로 시킨 가격. /사진=최우영 기자
업주들은 배민의 중개 수수료가 과도해 이익률이 떨어진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일부 소비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공감하지 않는 기류가 감지된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중개 수수료를 아낀 만큼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는 게 아니라, 프랜차이즈 업체만 배불리려는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로 배민과 치킨 프랜차이즈 자체 배달을 비교해봤다. 서울 용산구의 한 지점에서 A치킨 순살 반반 메뉴를 찾아봤다. 3500원짜리 할인쿠폰을 적용하니 원효로지점은 배달팁(200원) 포함 1만9700원에 배달이 가능했다. 프랜차이즈 홈페이지에서 같은 지점을 검색하니 '포장만 가능한 지점'으로 나왔다. 그 다음으로 가까운 이대역지점에서 같은 메뉴를 배달하니 배달팁(4000원) 포함 2만6500원이 나왔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배달앱들은 그동안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라이더 매칭 고도화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최적의 가격에 빠른 배달을 가능케 하는 데 주력한다"며 "플랫폼이 이러한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 들어간 투자금 등을 고려한다면 현행 중개 수수료가 과도하다는 주장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정부의 가격 개입, 장기적으로는 서비스 질 하락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사진=뉴스1
배달앱 3사와 외식업주,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배달앱 상생협의체'는 사실상 배달앱의 수수료 인하를 위한 기구로 여겨진다. '상생'을 해야한다는 압박에, 배민은 이날 상생협의체 회의에서 '외식업체 매출별 차등 수수료제'를 논의 테이블에 꺼내기로 했다.

이러한 상황은 사실상 정부의 시장 개입 및 가격 통제로 해석된다. 박진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중개 수수료 같은 제품 가격을 낮추려는 압력은 정부가 행사하는 것보다, 시장에서 나오는 게 바람직하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업체간 경쟁을 촉진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정부가 직접 개입해 수수료를 손쉽게 낮춤으로써 당장 업주들이 이득을 볼 수 있겠지만, 나중에는 배달앱의 퀄리티가 떨어져 배달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며 "언제나 정부의 가격 개입은 장기적으로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갖게 된다"고 강조했다.

최우영 기자 you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