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서울 경기권에서
볼락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가장 가까운 출조지가
속초나 강릉, 삼척 쪽입니다.
따뜻한 남쪽나라인 남해 쪽은
편도 5시간 이상 걸리는
극악의 출조 거리를
감수해야 하니 상대적으로 출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입문자를 위한
볼락 낚시의 기초라는
제목으로 효율적인
출조지와 낚시 장비
그리고 꼭 필요한 채비와
구비 용품 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경기권에서 효율적인 출조지
볼락은 동해와 남해권에서만
낚인다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필자의 거주 지역인 용인에서
동해 북부보다는 조금 더 믿음이 있는
삼척 임원항까지 편도 소요 시간은
3시간 17분으로 휴게소에서 커피 한잔하며
휴식을 취하면 최소 3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3시간 30분 출조 방향 운전,
낚시 시간 2~3시간,
3시간 30분 복귀 방향 운전 등의
방법으로 당일 치기를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적고 보니 효율적이라는 말은
빼야 할 것 같네요.
동해 대진항의 경우 편도 거리는
조금 줄어드는 편입니다.
임원항은 대형 항구로
많은 포인트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동해의 외항 테트라포드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안전장비를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절대 추천이라는 말은 못 하는 곳이
동해의 외항 테트라포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겨울 낚시 여행이라는
타이틀로 1박 2일의 여행을
즐긴다면 조금 더 여유롭게
낚시를 즐길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볼락용 낚시 장비와 채비
필자는 민물에서
쏘가리 낚시와 바다에서
우럭 낚시를 어느 정도 했었기 때문에
관련 장비를 보유하고 있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쏘가리 장비의 셋팅으로는
볼락 낚시를 하기에는
부족했었던 것 같습니다.
볼락 전용웜은
쏘가리나 꺽지용과는 다르게
잘 늘어나면서 끊어지지 않는
특이한 재질이었습니다.
지그 헤드와 웜의 무게도
아주 작고 가늘고 가벼웠습니다.
전용 지그 헤드와
웜을 꼭 구비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낚시대는 양식장 송어 낚시에서
사용하던 낚시대면 무난할 것 같고요.
릴은 1000~2000번 그리고
라인은 합사 0.2~04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자는 베이트 피네스 장르를
즐기다 보니 베이트 피네스 장비로
입문했습니다.
첨부터 너무 욕심을 부려서
0.2호부터 시작을 한다면
다루기가 힘들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 같습니다.
합사 0.5호부터 차근차근 익숙해지면
라인 호수를 내리면 좋을 것 같네요.
볼락 낚시에 필요한 용품
볼락 낚시는 보통 해 뜰 무렵이나
해 질 무렵이 피크타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낮 시간대에도 잘 낚으시는 분들이
많지만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고 포인트 노하우가 축적되면
시도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볼락 낚시에는 녹색 집어등을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백색 등도 많은 차이는 없는 것 같고요.
고기 집게는 전갱이는 꼭 필요하지만
볼락은 없어도 되고요.
다만 추운 겨울 날씨에
손의 보온을 위해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사진에 지그 헤드와
웜을 잘 정리해 놓은 것처럼
채비 케이스도 준비해 두면 편리합니다.
포인트의 여건에 따라서
라이프 자켓과 릿지화도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요.
작은 사이즈는 릴리스가 기본이겠지만
입맛을 위해 삐꾸통이라고 부르는
두레박도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필로그
볼락 낚시를 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수온은 어느 정도일까요?
우리나라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14~16도 정도를 가장 활발한 수온대로
정의해 놓은 것 같습니다.
일본에서는 12~16도 정도로
표시되어 있고요.
동해 남부권 앵글러들의
말을 빌리면 10도 정도가
가장 좋은 활성도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필자의 작년 데이터를 살펴보니
수온이 14도 정도일 때
앵글러도 버틸만한 날씨인 것 같습니다.
10~12도 사이도 활성도가
좋다고 한다면
12월 말까지는 볼락 낚시가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 듭니다.
지금까지
서울 경기권에서 볼락 낚시의
효율적인 출조지인
삼척의 임원항과 낚시 장비와 채비
그리고 구비 용품과 적정 수온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Copyright © 2024. hed9ehog.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