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흐른다, 세균은 남는다
“매일 샤워는 하는데, 발도 당연히 씻긴 씻겠지.”
그렇게 생각하는 당신, 혹시 오늘도 발바닥은 그냥 물에 담그고 지나치지 않았는가? 우리 몸의 끝자락에 위치한 발은 자칫 ‘덜 씻어도 되는 부위’로 오해받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세균과 곰팡이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최근 3월 24일 BBC 보도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샤워 중 발에 물을 흘리는 것만으로 ‘세척 완료’라고 착각하고 있지만, 이는 제대로 된 세정이 아니다.
특히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는 습기와 열이 집중되는 구조적 특성 탓에 세균 번식이 활발한 부위다. 그저 물을 흘리는 것만으로는 이러한 세균을 제거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당신의 발엔 ‘보이지 않는 생명체’가 산다
발바닥은 땀샘 밀도가 인체에서 가장 높은 부위다. 1㎠당 약 600개의 땀샘이 모여 있어, 운동을 하지 않아도 하루 종일 습기를 머금고 있다.
이 땀은 곧 세균의 만찬이 된다. 땀 속 전해질, 아미노산, 유기산 등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게는 최고의 영양소다. 이 균은 이를 분해해 ‘이소발레르산(isovaleric acid)’이라는 지독한 발 냄새의 주범 물질을 만들어낸다.
발 위에 군림하는 것은 세균뿐만이 아니다. 곰팡이 역시 발을 천국으로 여긴다. 칸디다, 아스페르길루스, 트리코스포론 같은 진균류는 따뜻하고 어두우며 습한 환경, 즉 발가락 사이에서 활발히 번식한다. 이들은 무좀, 백선증 등 흔한 발 질환의 원인이 된다.
BBC가 소개한 한 연구에 따르면, 발을 하루 두 번 비누로 문질러 씻은 사람은 1㎠당 약 8,800마리의 세균이 검출된 반면, 이틀에 한 번 씻은 사람에게선 무려 100만 마리 이상의 세균이 검출됐다.
그 차이는 단순한 ‘청결’의 문제가 아니라, 감염 예방과도 직결되는 숫자다.
“깨끗함”이 생명을 살린다 –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는
사소한 상처 하나도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 바로 당뇨병이다. 이 질환을 앓는 사람은 말초신경 손상으로 발의 감각이 둔해져 상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상처는 습기와 세균에 노출되며 감염의 문이 열린다.
“씻는 행위 자체가 검진이다.”
전문가들은 발을 씻는 과정 중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질병 조기 발견의 핵심이라 말한다. 갈라진 피부, 가려움, 붉은 반점 등은 방치하면 결국 괴사, 심하면 절단 수술까지도 이를 수 있다.
브리스톨대학의 댄 바움가르트 교수는 “씻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말리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발가락 사이에 남은 수분은 곰팡이 감염률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이는 ‘습한 온상’이기 때문이다.
너무 자주 씻는 것도 문제? ‘적절한 세정’의 균형이 필요하다
모든 세균이 나쁜 건 아니다. 발 피부에는 유익균도 함께 존재한다. 이들은 피부를 보호하고, 상처 치유를 돕는다.
하지만 뜨거운 물과 강한 세정제, 과도한 각질 제거는 이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피부가 건조하거나 예민한 사람에게는 하루 1회가 아니라, 이틀에 한 번 정도의 세정이 오히려 적절할 수 있다.
또한 발 각질은 단순한 ‘불필요한 피부’가 아니다. 외부 자극을 막는 방어벽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무조건 제거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제부터 제대로 씻는 법, 실천해보자
✅비누와 손(또는 수세미)로 직접 발을 문질러 세정
✅운동 후나 땀이 많을 때, 당뇨병 환자는 매일 세정
✅샤워 후에는 발가락 사이까지 꼼꼼하게 건조
✅피부 민감한 경우는 이틀에 한 번, 보습제 사용 병행
✅정기적인 ‘눈으로 보는’ 발 상태 점검
작은 습관 하나가 당신의 건강을 바꾼다
우리는 종종 ‘보이지 않는 곳’에 덜 신경을 쓴다. 그러나 가장 아래 있는 발이야말로, 하루 종일 몸을 지탱하고, 감염에 맞서 싸우는 작은 전쟁터다. 물 한 줄기만 흘려보내는 샤워 습관은 이제 그만.
하루 한 번, 발을 바라보고 정성스레 닦아내는 것. 그 사소한 실천이 당신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당신은 오늘, 발을 ‘진짜’로 씻었나요?
혹시 오늘도 그냥 물만 흘렸다면, 내일은 달라져야 할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은 발을 어떻게 씻고 계신가요? 아래 댓글로 당신만의 발 관리 습관을 공유해주세요.
Copyrigh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