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사도, 소재업체도, 물류업체도 "이차전지, 이차전지"

정옥재 기자 2023. 5. 30. 18: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육·해·공 제조업체, 물류업체는 물론이고 철강업체까지 국내 제조업계와 물류업계는 이차전지 '열풍'에 휩싸였다.

글로벌 업계에서는 '챗 GPT 열풍'이 한창이고 국내 기업들 내부에서는 이차전지 소재, 개발, 유통 및 물류까지 이차전지를 빼놓고서는 국내 산업을 말할 수 없을 정도다.

SK그룹 소재 계열사 SKC는 이차전지용 동박시장 글로벌 1위이지만 실리콘 음극재 시장 진출에 이어 포스코그룹과 손잡고 '리튬메탈 음극재' 소재 시장을 공략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제조업 물류업 이차전지 열풍
포스코그룹, 관련 밸류체인 완성
반도체 소재 회사도 배터리 진출
항공물류 업체들도 잇따라 운송 인증

육·해·공 제조업체, 물류업체는 물론이고 철강업체까지 국내 제조업계와 물류업계는 이차전지 ‘열풍’에 휩싸였다.

글로벌 업계에서는 ‘챗 GPT 열풍’이 한창이고 국내 기업들 내부에서는 이차전지 소재, 개발, 유통 및 물류까지 이차전지를 빼놓고서는 국내 산업을 말할 수 없을 정도다. 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에 주로 들어가는 전기 충전식 배터리를 말한다.

현대글로비스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인증’을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25일 열린 인증 수여식에서 기념 촬영하는 김지현 현대글로비스 글로벌물류사업전략실장(오른쪽 첫 번째)과 필립 고 IATA 아태지역본부 부사장(오른쪽 두 번째) 및 관계자들. 현대글로비스 제공


SK그룹과 포스코그룹은 30일 미래 소재 수요의 ‘길목’을 잡기 위해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SK그룹 소재 계열사 SKC는 이차전지용 동박시장 글로벌 1위이지만 실리콘 음극재 시장 진출에 이어 포스코그룹과 손잡고 ‘리튬메탈 음극재’ 소재 시장을 공략한다. 리튬메탈 음극재는 차세대 전해질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가는 음극재 소재로서, 기존 흑연을 대체할 수 있다. 이차전지 시장은 향후 액체 전해질인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전고체 배터리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SKC는 원래 반도체 소재에 특화된 기업이다.

국내 대표 철강 그룹인 포스코는 포스코홀딩스 주도로 양극재, 음극재, 차세대 소재까지 이차전지와 관련된 모든 분야의 밸류 체인을 만든 상태다. 국내 유일 대기업집단이다. ‘밧데리 아저씨’ 금양 전 박순혁 홍보이사가 추천하는 기업 가운데 포스코홀딩스가 들어가 있다.

포스코그룹의 물류 및 에너지 계열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9일 호주계 광업회사 블랙록마이닝의 자회사 탄자니아 파루 그라파이트와 이차전지 배터리용 천연흑연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기존 소재 시장에서도 공급력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차전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정밀 나노 코팅 기술을 보유한 미국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는 물론 잠수함, 민간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동력체계 및 에너지 저장장치(ESS) 사업과의 시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포석이다. 경남 창원 성산구에 본사와 주력 사업장을 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그룹의 주력 계열사로서, 옛 대우조선해양(한화오션)에 투자한데 이어 이번에는 이차전지 사업에 진출한 셈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발사에 깊이 관여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투자회사인 OIC, 카탈루스 벤처스(Catalus Ventures), 에센트펀드(Ascent Funds) 등과 함께 미국 재료 공학 스타트업인 포지나노(Forge Nano)의 시리즈 C 투자에 참여한다. 포지나노의 투자 유치 금액은 총 5000만 달러(약 664억 원)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투자 라운드에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다. 2011년 미국 콜로라도 대학의 연구실에서 창업한 포지나노는 2차 전지 소재를 코팅해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을 보유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물류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는 배터리 물류 시장에서 전문운송 국제표준인증을 취득하는 등 특화 경쟁력을 앞세워 관련 사업 확대에 나선다.

현대글로비스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인증 (CEIV Lithium Batteries) 자격을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IATA의 CEIV 리튬 배터리 인증은 리튬 배터리 항공 물류 체인에 속한 업체의 운송 전문성을 증명하는 국제표준 인증이다. 대한항공, LX판토스 역시 최근 이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에 진출해 미래 신사업 정조준에 본격 나섰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달 25일 서울 마곡에 위치한 코오롱 원앤온리 타워에서 국내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스타트업인 알디솔루션과 약 45억 원 규모의 지분투자 계약을 맺은 바 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