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의 불-재(灰)에서 느낀 생명감, 안종현 작가

조회 1642023. 4. 3.

작가노트

2017년 봄, 강릉에 큰 산불이 나서 며칠 동안이나 불이 꺼지지 않는다는 신문 기사를 보았다. 현대화된 사회에서 그렇게나 오래 불을 끄지 못한다는 사실이, 불이 났다는 사실보다 더 신기하게 다가왔다.

인류가 사용하는 불 중 원자력 발전소의 불은 끄고자 하여도 끌 수가 없다고 한다. 그 불은 인간이 사용하는 가장 강력한 불 중 하나이지만, 우리가 원할 때 끌 수 없는 불이다. 통제되지 않는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은 언제든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늦게나마 꺼진 산불이 고맙게 느껴졌다.

현실처럼 받아들여지지 않는 원자력의 불은, 성서에 나오는 모세가 만난 불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졌다. 모세는 불이 붙었으나 타지 않는 떨기나무의 불을 목격한다. 그 초현실적인 불은 불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아무것도 태우지 않는다.

화재가 일어난 현장을 찾아간 이유는 불에 대한 단상을 작업으로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였다. 밝은 태양 아래 까맣게 탄 나무들을 바라보며 죽은 듯 보이는 나무에서 역설적으로 인간적 관점 넘어 대자연의 생태 시작을 떠올리는 생명력을 느꼈다.

이러한 경험은 까맣게 탄 공장을 봤을 때도 비슷한 생각이 들었다. 마치 오래된 유적을 보는 듯한 시각적 경험은 이곳의 원래 기능에서 벗어나 영적 신전 같은 이미지로 머릿속에 맴돌았다.

본 작업은 불이라는 현상과 그에 대한 보편적 생각에서 시작했으며, 개인적 체험과 물리적 좌표 위에서 시간과 공강을 담는 사진을 통해 만들어졌다. 재(灰)에서 느낀 생명감에서 시작된 작업은 사진 매체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 특성에 기대서 작업하였다. 사진을 보면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적 의미를 발생시키는 찰나적인 시점이 되길 기대한다.


시작의 불 factory - #01

pigment print, 140x185cm, 2019

시작의 불 factory - #03

pigment print, 140x185cm, 2019

시작의 불 factory - #04

pigment print, 125x150cm, 2019

시작의 불 factory - #05

pigment print, 100x125cm, 2019

시작의 불 factory - #08

pigment print, 50x80cm, 2019

시작의 불 forest - #01

pigment print, 140x185cm, 2019

시작의 불 forest - #05

pigment print, 100x125cm, 2019

시작의 불 forest - #07

pigment print, 60x80cm, 2019

시작의 불 forest - #12

pigment print, 100x124cm, 2019

시작의 불 forest - #016

pigment print, 60x80cm, 2019

안종현 작가


안종현은 사진의 물질적 기록과 미학적 재현이라는 이중적 특성에 천착하여 인간과 사회, 인간과 자연, 현재와 역사의 관계를 재조명한다.

<붉은 방>(2011), <미래의 땅>(2013), 통로(2015), <시작의 불>(2019), <멀리 가까이 중간>(2020) 등 다양한 작업을 발표해왔다.

제11회 일우사진상 및 사진비평상, 미래작가상, KT&G 상상마당 올해의 작가 등을 수상, 선정받았다.

작품은 박건희문화재단, KT&G 상상마당, 고은사진미술관 등이 소장하고 있다. 스페이스55의 대표로서 기획자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2021년 시차적응 전시 및 NFT를 활용한 메타버스 전시를 기획하였다


<주요 개인전>
- 2020년 당신으로부터 나의 거리, 일우스페이스, 서울
- 2019년 시작의 불, 복합문화공간 에무, 서울
- 2018년 보통, 복합문화공간 에무, 서울
- 2017년 medium. bmw photo space. 부산
- 2015년 통로, 송은 아트큐브, 서울

<주요 그룹전>
- 2023년
사진을 향한 시선들, 로운 겔러리, 서울
- 2021년
푸른 유리구슬 소리,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KT&G SKOPF 신소장품전, KT&G 상상마당 갤러리(홍대&부산), 서울, 부산
전주국제사진제 한국현대사진특별전 “유토피아”, 전주아트갤러리, 위성갤러리,
- 2020년
생명의 이유, 샘표 아트 스페이스, 이천
- 2019년
화자가 문장을 말한 시간ㅣ발화–발화시, 충무 아트센터 갤러리, 서울
Non-Frame, 금천예술공장, 서울
The Narrative in their Eyes, KAMC, 요코하마
달콤한 비눗방울, 아트스페이스M, 서울
- 2018년
Summer Love,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우주시계의기운, 돈의문 박물관 마을 G4
- 2017년
로드쇼, 토탈 미술관, 서울
베이징국제사진제 , 베이징, 중국
- 2016년    
사진 미래색, 고은 사진미술관, 부산
락희럭키루키, 금천예술공장, 서울
- 2015년    
Beyond Landscape, 비핸즈,아트앤스페이스 갤러리, 중국 상해
동강국제사진제국제공모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 2014년   
우리는 왜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가?, 더 텍사스프로젝트, 서울
사진 격정적 순간, 서진아트스페이스, 서울
사진비평상 수상자전, 토포하우스, 서울
- 2013년    
TRIALOG, 토탈 미술관, 서울
The Other Space, 킵스 갤러리, 서울
동강국제사진제 거리설치전, 동강사진박물관, 영월

<주요 수상>
- 2020년 제11회 일우사진상 전시부문, 일우재단
- 2016년 한국사진학회 우수포트폴리오. 한국사진학회
- 2014년 KT&G 상상마당 올해의 작가 선정, KT&G
- 2013년 사진비평상, 포토 스페이스
- 2011년 미래작가상, 박건희 문화재단

<주요 작품 소장처>  
일우재단, 고은사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박건희 문화재단, kT&G 상상마당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