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행복 도시, 스포츠가 복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 남구에 사는 안모(여·78) 씨는 매일 오전 3시면 잠에서 깨 거실에서 스트레칭을 1시간 한 뒤 아파트 정원으로 나가 1시간가량 '뺑뺑' 돈다.
안 씨는 노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학교시설의 전면적 개방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노인 스포츠 인구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지만 수용 시설과 프로그램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설·프로그램 향상 절실”
부산 남구에 사는 안모(여·78) 씨는 매일 오전 3시면 잠에서 깨 거실에서 스트레칭을 1시간 한 뒤 아파트 정원으로 나가 1시간가량 ‘뺑뺑’ 돈다. 그러다 오전 6시20분이 되면 인근 초등학교에서 15명의 노인들과 40분간 기체조를 한다. 하루라도 쉬면 몸이 뻐근해져 비가 와도 좀처럼 빼먹지 않는다. 집 주변에 헬스장과 수영장이 있지만 비용 부담이 큰 데다 노인이 드나드는 것을 꺼리는 이도 많아 가지 않는다.
안 씨는 노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학교시설의 전면적 개방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교장선생님이 누구냐에 따라 학교 운동장 개방과 폐쇄가 반복되고 있다”며 “운동장 등을 청소해주며 겨우 허가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데, 저렴한 비용으로 마음껏 운동할 수 있는 곳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부산은 지난해 말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22.6%로 전국 특별·광역시 중 가장 높다. 하지만 이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스포츠 활동에 대한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노인 스포츠 인구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지만 수용 시설과 프로그램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국민체육 활성화를 위해 스포츠클럽과 국민체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스포츠클럽은 전국에서 103곳이 있으나 대부분 엘리트체육 육성 목적으로 운영돼 노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2002년 아시안게임 이후 구·군마다 들어선 국민체육센터가 사실상 유일한 시설인데 예산에 발목이 잡히면서 노인 스포츠 활성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학교 시설 개방 역시 주민복지와 학생 안전관리가 상충하면서 지지부진하다. 지난 4월 기준 부산의 초·중·고 운동장과 체육관 등 시설 개방 비율은 각각 84.5%, 72.1%로 높다. 그러나 실상을 보면 일주일에 한 번만 개방해도 개방률로 잡혀 실제로는 주민 요구에는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학생안전이 가장 중요한 학교로서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이 있다 보니 시설 개방을 꺼리고 있는데 이를 비난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광주시는 2009년 아시아 최대 규모(10만700㎡) 노인시설인 ‘광주 빛고을 노인건강타운’을 열어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11만7300㎡ 부지에서 연간 8만1500명의 회원이 82개 종목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복지 선진국인 서유럽의 국가들도 체계적인 노년층 스포츠 프로그램 관리로 삶의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일본 후쿠오카에서는 지자체와 대학 기업이 힘을 합쳐 뇌인지 프로그램이 가미된 ‘라라라 서킷’을 운영하고 있으며, 스페인은 노년층에 필요한 스포츠 관련 종합정보를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해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부산시체육회 성기환 체육진흥본부장은 18일 “노년층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지원은 복지 차원에서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으로 이어져 정부와 지자체의 의료비 지원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며 “노년층을 위한 스포츠 시설 확충과 프로그램 보급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