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로 ‘내 집’, ‘해외,해외’에 “빚만 쌓였다”.. 3분기 가계 빚 1,876조, ‘역대 최대’
가계 빚, 전 분기比 14조 늘어.. 2분기 연속↑
주담대 늘어.. 여행 등 신용카드 씀씀이 확대
가계대출 잔액 1,759조.. “5개 분기 만 최대”
4분기도 증가세 예상 “정부 관리 등 영향”
3분기 가계 빚이 1,876조 원으로 1년 만에 ‘최대’ 기록을 다시 썼습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가계대출 잔액도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집값 바닥론’이 지속되면서 부동산 거래량이 늘자 대출이 따라 늘고 되살아난 여행·여가 수요를 중심으로 신용카드 이용액 등 판매신용이 3개 분기 만에 증가 전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오늘(2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23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우리나라 가계신용(가계 빚) 잔액이 전 분기 말과 비교해 14조 3,000억 원 증가한 1,875조 6,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개 분기 연속 늘었는데, 증가 폭은 2021년 4분기(17조 4,000억 원) 이후 가장 컸습니다. 잔액 규모 역시 지난해 3분기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가계대출)과 신용카드 이용액 등(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인 빚을 의미합니다.
이같은 가계 빚은 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인해 지난해 4분기(-3조 6,000억 원)와 올 1분기(-14조 3,000억 원) 등 2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2분기(9조 5,000억 원) 증가세로 돌아선데 이어, 3분기 증가 폭을 더 키웠습니다.
가계신용에서 가장 비중이 큰 가계대출은 전 분기 말에 비해 11조 7,000억 원 늘어난 1,759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분기(8조 7,000억원)보다 증가 폭은 커졌고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2분기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가계대출 상품별로 주택담보대출이 전 분기에 비해 17조 3,000억 원 늘어난 1,049조 1,000억 원으로, 지난 분기의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집값 바닥심리가 확대된 영향으로, 이에 따른 주택 거래량이 여전히 많았던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1분기 11만 9,000호, 2분기 15만 5,000호, 3분기 14만 9,000호 등으로 증가 폭을 이어갔습니다.
더불어 가계대출 뿐만 아니라 판매신용(결제 전 카드 사용액) 잔액도 3개 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해 전체 가계 빚 증가에 가세했습니다. 전 분기 대비 2조 6,000억 원이 늘어 잔액이 116조 6,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여행·여가 수요를 중심으로 신용카드 이용액이 증가한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집계 기간인 7~9월 여름 휴가철이 겹치면서 3분기 개인 신용카드 이용액은 1분기(175조 6,000억 원)·2분기(182조 3,000억 원)보다 증가한 186조 9,0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감소 폭은 2분기 –7조 원에서 3분기 –4조 8,000억 원으로 축소됐습니다.
보험회사와 같은 기타금융기관 등 가계대출 증가액은 2분기 11조 7,000억 원에서 3분기 6조 5,000억 원으로 줄었습니다.
관련해 한은 측은 3분기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 감소세는 이어졌지만, 주택 경기 회복과 더불 어 주담대가 늘고 판매신용이 3개 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전체 가계신용 규모가 커진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다만 경제 규모가 확대되고 금융시장의 자금 중개 기능이 제고되면서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고,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이 확산했던 2020~2021년 분기 평균 30조 원 증가했던 것과 비교해서도 크게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봤습니다.
올해 4분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0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 8,000억 원으로 9월(4조 8,000억 원)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때문입니다. 다만 어느 정도는 속도가 늦춰질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관련해 한은은 “앞으로 가계부채는 최근 주담대 금리 상승 부담으로 주택시장 관망세가 확대되고, 정부 당국 등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효과가 시차를 두고 가시화하면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