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앴다 부활한 북한의 ‘설날’… 우리와 같고도 다른 명절

김예진 2023. 1. 23.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민족 대명절'로 불리는 설을 북한에선 어떻게 지낼까? 길어진 분단 기간 만큼이나 남·북한 사이 차이도 적잖다.

우리에게 연중 최고의 명절은 음력 설과 추석이지만, 북한에서 최고의 명절은 전혀 다른 날이다.

우리가 떡국을 먹는 것과 달리 북한에선 대표적 설음식이 조금 더 다양하다.

대신 북한에선 지역간 통행이 쉽지 않기때문에 동네 식당에서 설 음식을 즐기는 풍경이 펼쳐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족 대명절’로 불리는 설을 북한에선 어떻게 지낼까? 길어진 분단 기간 만큼이나 남·북한 사이 차이도 적잖다. 

우리에게 연중 최고의 명절은 음력 설과 추석이지만, 북한에서 최고의 명절은 전혀 다른 날이다. 바로 김일성 생일인 ‘태양절’(4월 15일)과 김정일 생일 ‘광명성절’(2월 16일)이다.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인민문화회관에서 북한 주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한민족대백과에 따르면, 북한의 ‘4대 명절’은 김일성, 김정일 생일과 정권 수립일(9월9일), 조선노동당 창건일(10월10일)이다. 또 ‘7대 명절’을 꼽기도 하는데, 이는 4대 명절에 국제노동자절(5월1일), 해방기념일(8월15일), 헌법절(12월27일)을 더한 것이다.

음력 설의 경우, 1967년 김일성의 ‘봉건잔재 일소’ 지시에 따라 폐지했다가 1972년 남북대화 시작이후 대외선전 목적으로 성묘 등을 부분적으로 허용하기 시작했다. 1986년 김정일의 ‘조선민족 제일주의’ 주창에 의해 1989년부터 한식, 단오, 추석 등과 함께 민속 명절로 부활, 휴무일로 지정했다. 2003년부터는 사흘간을 공식 연휴로 지정했다. 우리는 설 앞뒤로 사흘간 휴일이지만, 북한은 설 당일부터 사흘간 쉰다. 2006년부터 음력설을 '설 명절'로 부르고 있다.

북한도 남측과 비슷하게 설날 세배 문화가 있고 떡국을 먹으며 민속놀이를 즐긴다. 우리가 떡국을 먹는 것과 달리 북한에선 대표적 설음식이 조금 더 다양하다. 떡국과 함께 만둣국을 먹는 경우도 많은 것이 대표적이다. 특히 함경도나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북부 지역에서는 쌀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기후와 인접한 중국 영향 등으로 만둣국을 먹는 집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외에 ‘닭고기 쟁반국수’를 비록해 찰떡, 백설기, 절편 등 각종 떡과 지짐, 고기구이, 약과, 강정, 수정과, 식혜 등을 한다.

북한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인다. 꿩이 없으면 닭고기를 대신 쓰기도 한다. 이 떄문에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개성 지역에선 가래떡 대신 조랭이떡을 즐겨 먹는다. 대신 북한에선 지역간 통행이 쉽지 않기때문에 동네 식당에서 설 음식을 즐기는 풍경이 펼쳐진다. 식당들이 싹 문을 닫고 각 고향으로 ‘헤처모여’하는 우리 분위기와 다른 셈이다.
지난 19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평안남북도, 황해남북도, 자강도, 함경남북도, 남포시의 여러 농장마을에 주택들이 건설되어 새집들이 행사가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평양=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가족 친지와 함께 하는 민속 놀이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이 윷놀이 인 점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외에 널뛰기, 연날리기, 썰매 타기, 팽이치기, 제기차기, 바람개비놀이 등을 한다.

북한에서는 주민이 대거 참석하는 설맞이 공연도 진행해 축제 분위기를 띄우고, 북한 주민들은 조상 묘가 아닌  김일성·김정일 시신이 있는 평양 금수산태양궁전이나 각지의 '김일성·김정일 동상'을 찾아 헌화하는 것이 관례화돼 있다. 조선중앙TV는 음력설에 주민들의 참배 모습을 보도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