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요약
- 기업들 연봉에 대해 너무 모르는 애들이 많음
- 대기업 초봉 6000 쉽지 않고, 10년 다녀도 1억 안 되는 곳 많음
- 누가 연봉을 세후로 따짐. 사람/회사마다 세금 조건이 다른데
- 궁금하면 직접 살펴봐라. 말도 안 되는 소리에 '어 그런가?' 하지 말고
한국 기업들 연봉할 수 있는 곳
금융감독원 https://dart.fss.or.kr/main.do
원티드랩(크레딧잡) https://insight.wanted.co.kr/
인크루트 오픈샐러리 https://www.opensalary.com/
한국에서 기업 임금 가장 정확하게 파악 가능한 것은 기업이 제출하는 사업보고서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 가능.
기본급, 인센 이런 이슈 없이, 심지어 스톡옵션 부여까지 급여로 쳐서 세전 통합함. 이걸 틀렸다? 공시 위반임. 그 회사 다니는 사람보다 정확함.
흔히 알려진 기업 연봉 계산은 국민연금 기반으로 자료 공개하는 걸 역산한 것임. 다만 이 경우 일정 급여 이상을 받으면 상한액이 있어서, 대기업 연봉 평균값을 계산하기는 부적절함.
올해 6월 기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을 617만으로 해서, 617만 * 12 = 7404만원. 연봉 2억을 받아도 7404만원 받는 걸로 계산된다는 말임. 원티드랩/오픈샐러리로 대기업 급여 계산해보면 안 맞는 경우가 많은 게 이 때문임. (근거 자료를 금감원으로 하면 사업보고서 데이터가 산입된 거라 정확도가 높음)
포텐 보면
"대기업 다니면 다들 초봉 6000 정도 받지 않냐"
"3~4년차면 8000~9000 되지 않냐"
"모 기업은 초봉으로도 9000 된다던데?"
이러는데. 터무니없음.
2023년 기준 임원 제외 직원 임금
SK하이닉스의 직원 3만2065명 1억2100만원. 평균근속년수 12.7년
현대자동차 직원 7만3502명 1억1700만원. 평균근속년수 16.7년
GS리테일 직원 7368명 6600만원, 평균근속년수 7년
아모레퍼시픽 직원 4782명 8400만원, 평균근속년수 12.4년
카카오 직원 3880명 1억100만원, 평균근속년수 5년
대한항공 직원 1만8001명 1억103만원, 평균근속년수 18.1년
에스오일 직원 3242명 1억7229만원, 평균근속년수 18.7년
신세계 직원 2618명 8400만원, 평균근속년수 12.7년
롯데쇼핑 직원 1만9676명 5511만원, 평균근속년수 11.5년
두나무 직원 612명 1억163만원, 평균근속년수 2.8년 (2021년 3억9293만원 / 2022년 2억3786만원)
ex) 현대자동차
회사마다 다르지만 직무별, 성별로 임금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안내돼 있음. 정규직이냐, 계약직이냐 이런 거도 구분함.
가령
대한항공 항공운송사업 여직원 7329명 연봉은 7496만원임 근속년수 16.3년.
GS리테일 편의점 여직원 710명 연봉 4900만원. 근속년수 4.6년
대기업이라고 해도 어떤 기업이냐, 어떤 직무냐에 따라 연봉 천차만별임.
유통업 같은 경우 초봉 6000? 거의 안 된다고 보는 게 맞음. 5000도 안 될 거 같은 곳들도 보이는구만.
반면 돈 잘 벌기로 유명한 곳들은 상상 이상으로 많이 줌. 한때 한국 연봉 1위 찍었던 두나무가 대표적인 예. 지난해는 확 쪼그라들었는데, 두나무 2021년 평균연봉은 경이적인 수치였음. 정유계는 항상 두둑하고.
SK하이닉스가 올해 인센을 잘 줘서 임금이 확 뛸 거라고 하는데. 그건 2024년 사업보고서 보면 아는 거고.
그런 일시적인 반짝 값 말고. 최상위티어 대기업 정도 돼야 10년 근속해서 1억 간당간당함. 초봉 7000 이상 주는 곳? 얼마 안 될 듯한데.
다시 말하지만 저 값은 기본급, 인센티브 등 금액 총합임.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 같은 거 준 거까지 포함된 거임. 생산직의 경우 초과근무수당 같은 거까지 싹 다 긁어모은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