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사용료·법인세 회피…국감서 질타받은 구글

편지수 2024. 10. 8. 17: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장에 선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가 망사용료 무임승차, 법인세 회피 의혹 과 관련해 집중적인 질타를 받았다.

김경훈 대표는 "인터넷에 처음 접속할 때 접속료를 내면 데이터는 어디로든 흐를 수 있는 게 국제적 합의"라고 답변했으나, 김 의원은 "구글코리아의 편의주의적 접근 방식"이라고 꼬집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앱마켓 90% 점유 구글, 법인세 중소기업 수준"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한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가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비즈워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장에 선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가 망사용료 무임승차, 법인세 회피 의혹 과 관련해 집중적인 질타를 받았다.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구글이 망 사용료를 냈느냐고 물어봤을 때, 미국에서 접속할 때 내고 있다고 말했다. 왜 미국에서 내는 접속료를 낸다고 했느냐"고 질의했다. 

김경훈 대표는 "인터넷에 처음 접속할 때 접속료를 내면 데이터는 어디로든 흐를 수 있는 게 국제적 합의"라고 답변했으나, 김 의원은 "구글코리아의 편의주의적 접근 방식"이라고 꼬집었다. 미국에서 접속할 때는 현지 통신사에 접속료를 내는데 비해 한국 통신사에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트래픽을 한국에서 발생시키면서 그 비용은 미국에 내는 식이다.

김 대표는 "해저케이블을 비롯한 다른 네트워크를 많이 가지고 있다보니 국내 ISP(인터넷서비스제공자)와 저희 간 사적계약에 의해 네트워크를 사용한다"고 답변했다. 구글은 망사용료 논란과 관련해 네트워크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면서 별도로 망 사용료를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해왔다.

김 의원은 "구글은 연간 2000만톤 이상의 탄소를 배출하면서 한국에서 기후위기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구글과 넷플릭스가 국내 인터넷 트래픽의 40%를 차지하고, 막대한 매출을 올리면서도 내는 세금은 극히 제한돼 있다"고 따졌다.

이어 "국제적인 기준, 시장경제의 기본원칙에 충실하게 본인들이 유발하는 비용에 대한 대가를 충분히 지급할 준비를 하셔야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김 의원은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과 지난 8월 '망 이용계약 공정화법(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안)'을 공동 발의한 바 있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은 구글코리아 인앱결제와 세금회피 의혹을 지적했다. 한국재무관리학회가 추정한 구글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액은 약 12조1350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실제로 구글코리아가 지난해 납부한 금액은 2.5% 수준인 3653억원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가 낸 법인세는 155억원에 그쳤다. 박 의원은 "전세계 플랫폼 시장을 장악한 빅테크 기업이 매출은 한국에서, 매출신고는 싱가포르나 아일랜드처럼 법인세가 낮은 국가에서 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했다.

박 의원은 "2019년 기준으로 국내 앱마켓 매출이 6조원에 달했는데, 지금은 더 클 것"이라면서 "구글에서 가장 큰 매출을 차지하는 분야가 앱마켓 매출이 아니냐"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구글코리아는 광고사업을 위주로 하고 있어서 광고사업이 훨씬 크다"고 말했다. 매출에서 앱마켓 실적을 제외한 이유를 묻자 "계약주체가 구글코리아가 아니라 실제 서버와 운영인력이 사용되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박 의원은 "안드로이드 앱마켓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국내 어떤 IT기업보다도 영향력이 큰 구글코리아가 법인세는 중소기업 수준으로 납부하고 있다"면서 "구글플레이스토어 인앱결제로 국내기업으로부터 높은 수수료로 돈을 강탈해가고 정작 세금을 내지 않는 행위가 온당하냐. 현행법의 허점을 악용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편지수 (pjs@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