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진아, 너는 행복하니"…한국인 행복수준 32개국 중 `꼴찌`

박양수 2023. 3. 15. 2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인의 행복 수준이 세계 최하위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5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발표한 '세계 행복(GLOBAL HAPPINESS)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 수준은 57%로 32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조사 대상 국가 중 헝가리(50%)를 빼면 한국인의 행복도가 낮았다.

한국인의 경우 57%만 행복하다고 답했고, 나머지는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또는 '전혀 행복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행복(GLOBAL HAPPINESS) 2023' 보고서
경제상황 만족도 21%
사회정치상황 만족도 23%로 '하위권'
애인과 배우자 생길 것이란 기대감도 꼴찌
행복도 1위는 중국
14일 남산 산책로에서 한 시민이 서울 시내를 보고 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3474만원으로 전년 대비 24.2%(676만원) 올랐다. [연합뉴스]

한국인의 행복 수준이 세계 최하위권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5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발표한 '세계 행복(GLOBAL HAPPINESS) 202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 수준은 57%로 32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조사 대상 국가 중 헝가리(50%)를 빼면 한국인의 행복도가 낮았다.

입소스는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행복하세요?'라는 질문에 '매우 행복하다', '꽤 행복하다'고 답한 비율로 각국의 행복 수준을 측정했다.

한국인의 경우 57%만 행복하다고 답했고, 나머지는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또는 '전혀 행복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중국이 91%로 가장 행복 수준이 높은 나라로 조사됐다. 이어 사우디아라비아(86%), 네덜란드(85%), 인도(84%), 브라질(83%) 순이었다. 미국은 14위(76%), 일본은 29위(60%)다.

한국의 행복 수준은 32개국 평균(73%)에 한참 못 미쳤다. 1년 전(57%)과는 같지만 10년 전(62%)보다는 더 낮아졌다.

입소스는 한국을 비롯한 고소득 국가보다 남반구 국가들의 행복도가 더 높게 나왔다고 분석했다.

1년 전과 비교해 브라질(63%→83%), 콜롬비아(54%→80%), 칠레(53%→79%), 아르헨티나(48%→74%) 등 남미 국가들의 행복도가 크게 상승했다.

전 세계 공통으로 인생에서 가장 만족감을 느끼는 부분은 자녀(85%)와 배우자와의 관계(84%)였다. 가장 만족감이 적은 부분은 국가 경제상황과 국가 사회·정치상황으로, 각각 평균 40%에 그쳤다.

한국인도 자녀(78%), 배우자와의 관계(73%)에서 가장 큰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한국의 국가 경제상황 만족도는 21%, 사회·정치상황 만족도는 23%로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한국보다 경제상황 만족도가 낮은 국가는 아르헨티나(15%), 영국(19%), 포르투갈(12%), 사회·정치상황 만족도가 낮은 국가는 아르헨티나(17%), 헝가리(20%), 포르투갈(21%)뿐이다.

또 한국은 인생의 의미를 느낌(34%), 물질적 부(39%) 측면에서 유독 만족도가 낮게 측정됐다.

'도움이 필요할 때 의지할 수 있는 가까운 친구나 친척이 있다'는 한국인은 61%에 불과했다. 32개국 중 30위로, 일본(54%)과 브라질(58%)만 한국 뒤에 있다.

한국인의 41%는 '최근에 아주 괴로운 일을 겪었다'고 답했고, 35%는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고 밝혔다.

애인이나 배우자가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도 한국이 최하위를 차지했다.

싱글인 한국인 중에서 10년 안에 애인이나 배우자를 만들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사람의 비율이 더 쉬워질 것이라고 답한 사람의 비율보다 58%포인트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