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대학입시 손본다…'어떻게?'는 아직
[EBS 뉴스12]
국가교육위원회가 앞으로의 10년간 교육계획 청사진을 공개했습니다.
30년 동안 유지돼 왔던 수능과 학생부 중심의 대학입시를 어떻게 손볼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다만, 최근 논란이 된 수능 이원화나 논·서술형 평가 같은 큰 변화는 아직 논의 단계에 있다고 일축했습니다.
보도에 진태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해에 수능을 두 번 보고, 그중 하루는 진로 선택과목을 논·서술형 평가로 치르자.
2026년부터 10년 동안 적용될 중장기 교육계획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국가교육위원회 산하 전문위원회가 논의한 내용입니다.
내신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바꾸고, 중간·기말고사는 외부 기관에서 출제하도록 하거나, 대학이 학생을 뽑을 때는 채점자의 실명을 공개하고, 수험생이 요청하면 평가 결과를 제공하자는 내용도 검토에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정작 국교위가 어제 발표한 계획안 주요 방향에는 이 같은 내용들은 모두 빠졌습니다.
국교위는 당장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게 아니라, 일부 위원의 '아이디어' 차원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이배용 위원장 / 국가교육위원회
"최근에 여러 자문기구에서 개진된 의견들이 아직 국가교육위원회 본회의에서 정식 논의가 안 된 사안들인데 여과 없이 언론에 공개되어 국민들께 혼란을 드리게 된 점 유감스럽고…."
대신 앞으로의 변화는 평가와 대입 패러다임을 전환하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수준으로 에둘러 표현했습니다.
특히 학생의 '성장'과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한다고 했는데, 단 한 번 치르는 수능이나 오지선다형 방식을 손보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황준성 센터장 / 국가교육발전연구센터
"지식 중심의 어떤 평가 체제였다면 이제 서서히 역량 중심의 평가로 전환되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을 어떻게 묶어서 10년 동안 제도화해 나갈 것이다."
이 밖에도 공개된 계획안 주요 방향에는, 교육부가 현재 추진 중인 디지털 교과서나 유보통합, 늘봄학교가 현장에 잘 안착하도록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또, 과열된 사교육과 불합리한 학벌주의 같은 교육 난제들을 바로 잡기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한다는 방침입니다.
국교위는 앞으로 전문위 등을 비롯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을 내년 3월에 확정할 계획입니다.
EBS뉴스 진태희입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