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러 합병 선언 하루 만에 리만 탈환..러 강경파 "핵 사용" 주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점령지 합병조약에 서명한 지 하루 만에 합병 선언 지역 중 일부가 우크라이나 군에 의해 탈환됐다.
러시아가 합병 선언으로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러시아 '영토'로 주장한만큼, 우크라이나의 탈환 시도를 '영토 침해'로 해석해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배경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점령지 합병조약에 서명한 지 하루 만에 합병 선언 지역 중 일부가 우크라이나 군에 의해 탈환됐다.
<로이터> 통신을 보면 2일(현지시각)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날 우크라이나군이 동부 도네츠크주 리만에서 러시아군이 "완전히 제거됐다"고 확인했다. 전날 러시아군은 이 지역에서 군사를 물린다고 발표했다. 통신은 러시아가 도네츠크 북부에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리만을 물류 및 운송 요충지로 사용했기 때문에 이 지역 탈환이 우크라이나의 가장 주요한 성과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이 지역 탈환은 푸틴 대통령이 리만이 속한 도네츠크를 비롯해 인접한 루한스크주, 자포리자주, 헤르손주 4곳을 공식적으로 러시아로 편입하는 조약에 서명한지 하루 만에 이뤄져 외신은 이를 러시아의 "굴욕"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러시아 쪽은 이들 점령지에서 러시아 편입을 묻는 이른바 '주민투표'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 주민이 찬성 의견을 표했다며 이 지역 합병을 선언했다. 목격자들은 투표가 강압적으로 이뤄졌다고 증언했고 서방은 투표 결과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쪽도 투표를 인정하지 않고 "영토 전체"를 수복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외신은 러시아 내 강경파가 이번 철군을 비난하며 핵무기 사용을 주장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CNN 방송을 보면 친푸틴 인사인 람잔 카디로프 체첸 자치공화국 수장은 1일 철군을 비난하며 "저위력 핵무기를 포함한 더 과감한 수단 사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영토 보전"이 위협 받는다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혀 핵무기 사용을 암시한 바 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필요시 핵무기 사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러시아가 합병 선언으로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러시아 '영토'로 주장한만큼, 우크라이나의 탈환 시도를 '영토 침해'로 해석해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배경이다.
한편 2일 프란시스코 교황은 이례적으로 푸틴 대통령을 지목하며 전쟁 중단을 촉구했다. <AP> 통신을 보면 교황은 이날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 연설에서 "나는 무엇보다 러시아 대통령에게 이 폭력과 죽음의 악순환을 중단할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교황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침략으로 인해"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진지한 평화 제안에 대한 열린 자세"를 가질 것도 요청했다. 교황은 이날 러시아의 점령지 합병에 대해서 "국제법 원칙에 위배된다"며 규탄하고 이것이 "핵 위험을 고조시킨다"고 우려했다.
[김효진 기자(hjkim@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크라, 러 합병 선언 하루 만에 리만 탈환…러 강경파 "핵 사용" 주장
- 尹정부, '비속어' 파문 속 '여성가족부 폐지' 착수
- 인도네시아 축구경기서 125명 사망 '참사'…경찰 '최루탄' 과잉대응 도마에
- 브라질 대선서 룰라 과반 득표 실패…30일 결선 '접전 예상'
- 탈북 단체 또 대북 전단 보내… 정부 "강한 유감"
- 감사원 '문재인 조사' 통보, 文 "대단히 무례한 짓"
- "불평등이 재난이다! 주거권 보장, 지금 당장!"
- 尹지지율 30%대 턱걸이…'비속어' 파문 여파
- 국군의날에 중국군 장갑차를 국군 장비로?
- 내년 3월이면 실내 마스크 의무도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