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특구 관문 역할… 대덕과학문화센터 ‘역사 속으로’
민간공동주택 건설계획으로 철거 앞둬
내년 2월까지 해체·폐기물 처리공사 진행
1993년 조성 이래 매각 거듭… 공공성 훼손
연구 거점 상직성 간직한 채 역사 뒤안길로
30년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관문격 위치에 자리잡고 있던 대덕과학문화센터(이하 대덕센터)가 끝내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민간공동주택 건설계획에 철거를 앞두게 되면서 과거 과학도시 대전의 연구 교류 거점으로서의 상징성은 기록으로만 남게 됐다.
21일 지역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이날부터 내년 2월까지 대덕센터의 해체 및 폐기물 처리공사가 진행된다.
대덕센터를 매입한 사업자는 센터 철거 이후 해당 부지에 공동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다.
사업자는 앞서 진행한 주택건설 사업계획 승인 신청을 최근 취하한 상태지만 사업계획을 다시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개로 철거공사가 공식화되면서 대덕센터는 여러 변천사 끝에 사라지게 됐다.
앞서 대덕센터는 공공의 역할을 짊어진 채 출발했다. 1993년 한국과학재단(현 연구재단)이 230억원을 들여 과학계 연구 교류와 학술 활동 거점으로 조성했다.
센터가 들어설 부지는 여흥민씨 종중이 종중 소유 토지 일부를 헐값에 넘기며 마련됐다.
준공 이후에는 호텔롯데에 임대됐고 1998년부터는 재단에서 분리된 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가 관할기관이 됐다.
돌연 매각이 추진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초다.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정부는 센터 예산을 매년 감축했고 이후 매각 방침이 본부에 전달됐다.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회의록과 의회 자료 등을 살펴보면 ‘과학기술 창조의전당’(현 대전컨벤션센터·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건립이 추진되면서 대덕센터 매각은 가속화됐다.
대덕센터와 창조의전당 기능이 중복된다는 이유였는데, 애당초 혈세를 들여 건립한 대덕센터를 또 다른 유사시설 조성을 위해 민간에 매각한 셈이다.
이러한 매각 시도는 훗날 센터가 흉물로 남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센터는 수차례 유찰 끝에 2003년 목원대 학교법인 감리교학원이 268억원에 매입했다.
향후 감리교학원은 근린상업지역 내에 속한 센터 용도를 교육시설로 전환하고자 했지만 교육부가 이를 승인해주지 않으면서 계획한 바를 이루지 못했다.
이후 감리교학원도 센터 매각에 나서면서 별다른 활용처 없이 장기간 방치됐고 대전시 융합연구혁신센터 등 공적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도 거듭됐지만 불발됐다.
점차 공공성을 잃어간 대덕센터는 과거 한차례 주택건설계획으로 인해 주민 반대 등 논란을 겪은 데 이어 매매 과정에서의 법적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올 들어 민간 사업자에게 매각(920억원)이 완료되기 전까지 지역 내 대표적인 방치 건축물로 자리매김했다.
지역사회에서는 이러한 역사를 두고 센터 부지의 아파트화에 대한 아쉬움과 공공성을 유지하길 바라는 여론이 지속됐다.
당초 종중의 땅을 정부에 매각한 여흥민씨 종중에서는 사업 추진의 부당함을 지자체 등에 지속적으로 알리면서 난개발과 경관 훼손 등을 지적하고 있다.
한 특구 관계자는 “과거의 상징성과 역할, 관문이란 지리적 여건을 생각하면 아파트화에는 아쉬움이 크게 남을 수밖에 없다”며 “흘러온 변천사를 살펴보면 반면교사를 삼아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대전
Copyright © 충청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