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노태문 사장 "갤럭시AI 시작…웨어러블 제품에도 적용" f.삼프로TV 권순우 취재팀장

조회수 2024. 2. 22. 11:0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1. 삼성 노태문 사장 "갤럭시AI 시작…웨어러블 제품에도 적용"
2. KDI, 신구세대 국민연금 투트랙으로 운영하자
3. 배당하는 기업은 법인세 감면, 인색한 기업은 명단 공개

삼성 노태문 사장 "갤럭시AI 시작…웨어러블 제품에도 적용"

삼성이 갤럭시S24를 출시하고, CES에서 온디바이스AI 관련한 발표를 한 뒤 관심을 생각보다 크게 받고 있습니다.

온디바이스AI는 디바이스에서 AI를 처리하는 건데, 사실 반도체 성능이 그만큼 나와줄지는 의문입니다. 다만 전 세계 최대 세트업체인 삼성전자가 클라우드가 아니라 디바이스에서 한다고 하니 굉장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21일 S24 출시 이후 처음으로 모바일 AI(인공지능) 비전을 밝힌 기고문을 21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게재했습니다.

노 사장은 "갤럭시 AI는 이제 시작"이라며 "S24 시리즈를 개발하면서 구상했던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콘셉트들이 더 새롭고 혁신적인 기능들로 지속해서 소개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양한 제품군과 서비스 영역에 갤럭시 AI를 적용하고 최적화해 보다 강력한 모바일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모바일 기기가 AI의 가장 중요한 시작점"이라며 "갤럭시가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 열린 협력 철학 등을 바탕으로 모바일 AI시대를 열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에 AI기술이 접목된다면 완전히 새로운 인텔리전트 헬스 경험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신제품 출시 이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갤럭시 AI의 기능도 소개했습니다. 노 사장은 "새롭고 직관적인 검색 도구인 '서클 투 서치', 언어의 장벽 없는 소통을 가능케 한 실시간 통역과 채팅 어시스트, 프로비주얼 엔진에 힘입은 포토 어시스트 기능"을 꼽았습니다.

갤럭시 AI를 준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모바일 AI의 미래를 준비하며 AI 기술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향상시키고 사회 변화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을 했다"며, "이러한 숙고 속에 만들어진 AI기술들이 장벽 없는 일상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많은 일들을 더욱 쉽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KDI, 신구세대 국민연금 투트랙으로 운영하자

국민연금에 젊은 세대는 불만이 많습니다. 기성세대는 적게 내고 많이 받고 있는데, 그걸 부담해야 하는 건 젊은 세대입니다. 고갈이 돼 못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한국개발연구원이 세대간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젊은 층이 낸 보험료를 기성세대의 연금으로 지급되지 않도록 기금을 따로 운영하자는 리포트를 냈습니다.

이강구·신승룡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1일 국민연금의 세대 간 공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의 새로운 연금 개혁안을 발표했는데요. KDI의 제안은 젊은 세대가 낸 만큼 국민연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완전적립식 신연금 제도를 도입하자는 것입니다. 이는 개혁 시점부터 납입되는 모든 보험료를 신연금 기금으로 새로 적립하고, 수익비(낸 보험료 대비 받는 연금)가 1이 유지되도록 연금을 지급하자는 내용입니다.

수익비가 1.4~2.8인 현행 국민연금과 비교하면 나가는 돈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적립금이 고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국민연금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젊은 층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습니다.

KDI 추산에 따르면 구연금 재정부족분에 투입해야 하는 금액의 현재가치는 올해 기준 609조원에 달합니다. 국내총생산(GDP)의 26.9% 수준인데요.

이 연구위원은 “구연금의 기금 고갈이 예상되는 시점인 2046년께부터 약 13년간 GDP의 1~2% 수준의 재정 부담이 예상된다”며 “그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축소돼 2080년 이후에는 거의 사라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습니다.



배당하는 기업은 법인세 감면, 인색한 기업은 명단 공개

한국경제신문의 단독 보도인데, 26일 밸류업 프로그램에 담길 내용 일부가 들어 있습니다.

정부가 배당을 확대한 기업에게 법인세를 감면해주는 배당 세액 공제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기업이 전년 대비 확대한 투자액의 일정 비율을 세액공제해주는 투자세액공제처럼 배당 증가분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법인세를 깎아주는 것입니다.

2020년 33조1638억원이던 유가증권시장 배당액은 글로벌 금리 인상에 따른 실적 둔화 등으로 2022년 26조5854억원으로 줄었습니다. 정부는 배당 세액공제를 도입하면 기업들이 배당을 확대할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배당을 실시한 법인이 529곳에서 557곳으로 늘었지만 배당금은 줄어든 것입니다. 같은 기간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율)도 39.55%에서 35.07%로 낮아졌습니다. 지난해 경영환경 악화로 기업 실적이 좋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배당금이 더 줄어들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예전에 배당,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유보금에 과세를 하는 정책을 박근혜 대통령 때 한적이 있습니다. 기업소득 환류 세제라는 거였는데, 당기소득의 일정 부분을 환류하지 않으면 세금을 내도록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투자, 임금, 배당, 출연 등입니다.

이번에는 배당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주주 환원 강화→기업가치 상승→증시 저평가 해소’라는 선순환 구조를 촉진하기 위한 세제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배당 확대 기업을 위한 세액공제, 세무조사 유예 방안 등이 대표적입니다. 기재부는 세제 인센티브 확대, 법무부는 이사 사업 기회 유용 금지 강화 조항을 담은 상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법무부가 이사회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를 안 넣겠다고 버티는 상황인데요.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는 주장입니다. 다만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면 오히려 기업에 부담도 안 된다는 건데 버티는 이유가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또 배당소득에 대한 분리과세와 배당소득세율 인하 등 근본적인 세제 개편 방안은 장기 과제로 검토할 예정입니다. 반대로 저평가된 기업은 공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외에 주가수익비율(PER), 자기자본이익률(ROE), 배당성향 등의 지표도 선별 기준으로 삼기로 했습니다. PBR이 높은 기업이더라도 배당 성향이나 PER이 낮으면 ‘저평가 기업’ 리스트에 올려놓고 주주친화책을 권고·유도한다는 방침입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기준으로 선정된 기업 가운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밝히지 않은 기업을 외부에 공표합니다. 이른바 ‘네이밍 앤드 셰이밍’(공개 거론해 망신주기) 전략입니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26일 이 제도 내용을 일반에 설명하기 위한 공개 세미나를 열 예정입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