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좀먹는 공포…명확한 정의도, 통계도 없는 '묻지마 범죄'

신진 기자 2023. 6. 2. 20: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부터는 묻지마 범죄에 대해서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부산의 돌려차기 사건도 그렇고 이번에 정유정도 그렇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아무 연관도, 계기도 없이 어느 날 갑자기 범죄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불안합니다.

먼저 신진 기자입니다.

[기자]

비틀대며 길 걷던 남성.

돌멩이 든 주먹을 휘두릅니다.

상대는 모르는 사람입니다.

남성의 주먹을 맞은 여성은 그대로 쓰러집니다.

역시 이 날 처음 봤습니다.

연락처를 주지 않자 때렸습니다.

'묻지마 범죄'로 불리는 사건들, 지난 1년 간 알려진 것만 열 건이 넘습니다.

혼자 사는 직장인, 밤길 걷는 학생들은 두렵습니다.

[박모 씨/직장인 : 그냥 길 가다가도 맞을 수 있겠구나…]

[천은정/고등학생 : 뒤에서 누군가 따라오면 어떡하지?]

언제 닥칠지 모르고, 할 수 있는 게 없어 더 무섭습니다.

[김영현/고등학생 : 굳을 것 같아서. 아무것도 못 할 것 같아요.]

[박모 씨/직장인 : 저항도 못 해볼 것 같고…피할 수 없으니까 너무 무서워요.]

이런 범죄를 막겠다는 제도와 장치는 위안을 주지 못합니다.

[이모 씨/직장인 : 여성 안심 귀갓길이 있기는 한데 어차피 어둡잖아요. 내가 찔리고 나서 신고될지 어떻게 알아요.]

그래서 여성들은 매일 밤 이를 악물고 뛰거나

[박모 씨/직장인 : 지하철 내려서 집에 갈 때 무조건 뛰어가요.]

스스로를 지킬 방법을 찾습니다.

[이모 씨/직장인 : 호신술을 배우려고 시도한 적도 있고…]

그래도 범죄를 막는 건 불가능하고 피해자는 늘어납니다.

노점에서 과일을 사다 모르는 남성에게 맥주병으로 폭행 당한 여성.

[묻지마 범죄 피해자 : 작정을 했대요. 오늘 내가 한 사람을 죽여야겠다… 너무 힘껏 때려서 굉장히 무거운 건물이 머리 위로 떨어지는 줄 알고…]

일은 그만뒀고, 끊임없는 공포를 안고 살아야 합니다.

[묻지마 범죄 피해자 : 밖을 나가는 게 너무 무서워요. 남자들이 걸어가면 멈추게 되고…]

20년 전부터 이런 사건을 뭉뚱그려 '묻지마 범죄'로 부르기 시작했지만 아직 명확한 정의도, 통계도 없습니다.

(VJ : 박태용)

◆ 관련 리포트
최근 3년 '묻지마 범죄' 분석…주요 타깃은 여성·어린이·노인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29148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